국힘, '김경율 사천논란' 파동...'공정성' 강조될 듯
민주, 현역 불출마-탈당 지역 등 최소 20곳 예상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4.10 총선을 70여일 앞두고 여야 본격적인 총선 전쟁에 돌입한 모양새다.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는 23일 오후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2차 회의를 열고 '전략공천 기준' 등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17일 서울시당 신년 인사회에서 김건희 여사 명품 가방 수수 의혹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여 온 김경율 비대위원의 서울 마포을 출마에 힘을 실으면서 초래된 '사천' 논란으로 공관위의 공정한 처신이 강조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전략공천이 필요하다면 특혜처럼 보이지 않도록 원칙·기준을 세우고 지역 등을 선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공관위는 지난 16일 첫 회의에서 현역 의원 컷오프(공천배제) 기준과 동일 지역구 3선 이상 중진 의원에 대한 최대 35% 경선 득표율 페널티 방침, 권역별 경선 여론조사 방식 등을 확정 발표한 데 이어 이날 2차 회의에서는 동일 지역구 중진 의원과 탈당 경력자 페널티 등과 관련한 세부적인 적용 기준을 추가로 논의한다.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현역 의원 숫자가 두 자릿수를 넘어선 더불어민주당 역시 전략 지역에 대한 공천 방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역 의원의 불출마나 탈당으로 인해 전략지역으로 지정된 무주공산 지역구가 20곳으로 늘어나면서 당내 혼전이 불가피해 보인다. 민주당 당규에 따르면 현역 의원 불출마 지역구, 탈당 지역구는 전략선거구로 지정된다.
실제 총선 불출마 의사를 밝힌 민주당 현역 의원은 현재까지 10명이고, 국회법상 의장 재직 기간 동안 당적을 가질 수 없는 김진표 국회의장까지 포함하면 11명이 된다. 11명 가운데 9명이 지역구 의원이다.
여기에 국민의힘으로 당적을 옮긴 이상민 의원의 대전 유성구을을 비롯한 현역 의원 탈당 지역구 10곳이 전략선거구로 정해진 상태다.
민주당은 전략공천 지역으로 선정한 곳 중 일부 지역과 상대적으로 민주당이 열세로 분류되는 지역구부터 후보자를 정한다는 방침이다. 해당 지역에서 활동하던 사람을 공천할 수도 있고, 단수로 정하거나 두 명으로 압축해 경선을 치를 수도 있다.
전날 불출마를 선언한 최종윤 의원 지역구인 경기 하남의 경우 민병선 전 이재명 대선캠프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이 예비후보로 등록했고, 박경미 전 청와대 대변인도 출사표를 던졌다. 강병덕 중앙당정책위 부의장, 오수봉 전 하남시장, 이희청 건강가정문화교육원 이사장, 추민규 전 경기도의원도 예비후보로 뛰고 있다.
다만 선거구획정안에 분구 선거구로 분류돼 있는 하남 선거구는 둘로 나뉠 가능성도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