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인사청문회 검증대에 나선 김 후보자는 ‘역사적 재평가의 의미가 뭐냐'는 민주당 박해철 의원 질문에 “박근혜 전 대통령하고는 나이도 같고 (동시대를)같이 살았기 때문에 그분이 뇌물죄로 구속된다면 나도 뇌물죄”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그분은 정말 뇌물을 알지도 못하고 받을 사람도 아니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김 후보자는 '비선조직의 국정농단과 대통령 직권남용, 정경유착과 같은 정치적 폐습 청산을 위한 탄핵이었다'는 박 의원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며 "헌법재판소의 결정이기 때문에 인정하지만 (결정문)문구 하나하나에 동의한다고 말씀드릴 순 없다”고 강변했다.
그러면서 ‘후보자에서 사퇴할 용의가 있느냐’는 박 의원의 질문엔 “없다”고 일축했다.
김 후보자는 지난 2019년 문재인 정권 당시에도 “적어도 박근혜가 저보다 더 깨끗한 사람이라고 확신한다" 며 "자식이 없는데 무슨 뇌물을 받겠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인 바 있다.
그는 21대 총선을 앞두고 열린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의원 모임에서 "당신은 앞으로 1000년 이상 박근혜의 저주를 받을 것”이라고 김무성 전 대표를 직격하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특히 "박 전 대통령 석방을 위해 한국당이 적극 나서야 한다"며 “박근혜가 감옥에 가 있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 문재인, 조국부터 쳐넣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김 후보자는 청문회 모두발언을 통해 “노동개혁은 계속 돼야 한다"며 “노사법치의 토대 위에서 노동약자가 소외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고용노동부 장관으로 일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노사법치를 더욱 단단히 다지겠다”며 "정부 의지만으로는 불가능하고 노사정이 하나가 되어야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노동약자 보호법’을 마련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에 힘을 쏟겠다”며 "책임감을 가지고 임금체불 청산에 적극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