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의 뒤늦은 호들갑

고하승 / gohs@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03-12 14:24:5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주필 고하승



더불어민주당의 비례 위성 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 4·10 총선 비례대표 1번 후보로 한미연합사령부 폐지와 주한미군 철수 등을 주장하는 ‘반미’ 단체 출신의 전지예 금융정의연대 운영위원 등이 선출된 것에 대한 비판 여론이 비등하다.


특히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2일 민주당을 향해 “한미연합사 폐지나 주한미군 철수에 공감하는 건지 답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앞서 한 위원장은 전날에도 “민주당 위성정당 비례대표 후보의 면면이 드러나고 있다”라며 “노골적인 종북 인사가 포함돼 있다”라고 지적했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민주당은 뒤늦게 사태 수습에 나섰다. 이재명 대표가 연합정치시민회의에 비례후보 재추천을 요구한 것.


결국, 전지예 금융정의연대 운영위원은 이날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혀야만 했다.


그런데 문제는 그런 후보가 전지예 한 사람에게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실제로 민주당이 비례 위성 정당을 만들면서 야권 연대를 추진해 급진 좌파 인사들의 국회 입성 길이 열렸다.


아니나 다를까.


더불어민주연합에 추천된 시민사회와 진보당의 비례대표 후보자 면면을 보면 대다수가 반미·친북 활동을 전개해왔다. 시민사회가 여성 비례 2번으로 선정한 정영이 전국농민회총연맹 구례군농민회장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반대에 앞장서온 인물이다. 진보당이 추천한 3인 역시 이미 논란이 됐다. 장진숙 진보당 공동대표는 대학 시절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수배받은 전력이 있다.


전종덕 전 사무총장과 손솔 수석대변인도 내란음모죄로 형을 받은 이석기 전 통합진보당 의원의 사면을 주장하고 국가보안법 철폐를 주장해 왔다. 이들이 몸담은 진보당의 인적자원은 사실상 통진당과 대동소이하다.


민주당은 ‘종북·반미 세력과 연대했다’라는 비판이 나오는 것은 이런 이유다.


사실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이란 점은 이미 예견됐던 일이다.


민주당이 시민사회와 비례연합을 추진할 때부터 시민사회 몫의 후보를 심사하는 위원 명단에는 전지예 위원이 속했던 ‘겨레하나’ 대표 출신 조성우 위원장 등 반미 단체 이력 인사들이 대거 포진했기 때문이다.


겨레하나가 어떤 단체인가.


한미 연합훈련 반대 등 반미·반일 시위가 주된 활동인 단체다. 이 단체는 통합진보당의 후신 격인 진보당과 함께 행동해왔다.


특히 비례 1번을 받았다가 사퇴한 전지예 후보는 한국·유엔사 회원국 국방장관 회의가 열린 작년 11월 국방부 앞에서 열린 겨레하나 규탄 기자회견에서 청년 대표로 참석해 “유엔사를 해체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던 종북 인사다.


그러자 민주당은 마치 의외라는 듯 뒤늦게 연합정치시민회의에 비례후보 재추천을 요구하는 등 호들갑이다.


하지만 연합정치시민회의나 진보당이 민주당의 요구를 받아들일 리 만무하다.


어차피 시민회의나 진보당은 각각 3명씩 모두 6명의 비례 의석을 확보한 상태다. 그들은 모두 종북 성향의 집단으로 굳이 후보를 바꿀 이유가 없다. 설사 바꾼다고 해도 ‘그 나물에 그 밥’이라고 비슷비슷한 성향에 비슷비슷한 이력의 소유자가 비례 후보로 추천될 게 뻔하다.


그런 성향의 집단과 위성 정당을 함께 만들면서도 이런 사태를 예견하지 못했다면 그건 무능한 것으로 이재명은 당 대표를 할 자격이 없는 것이다.


이런 일이 벌어질 것을 알면서도 그들과 함께 위성 정당을 만든 것이라면 이재명 대표는 자신의 방탄을 위해 제1야당을 종북 세력에게 숙주로 제공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국민이 제1야당이 만든 비례용 위성 정당에 등을 돌린 이유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