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野 통합비례정당 공천, 난삽한 '복마전'" 직격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02-19 14:25:1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민주 ‘위성 정당’ 참여 진보당, 지역구 10석 요구설 겨냥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민주당 계열의 비례대표 후보 결정 과정이 그야말로 난삽한 복마전"이라며 "그런 식의 정치는 주권자인 국민을 배신하는 정치"라고 직격했다.


한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종북으로 헌법재판소에서 해산된 정당의 후신이 비례정당 연합 과정에서의 협력 등에 근거해 지역구 15석을 내놓으라는 식의 음험한 뒷거래들이 이뤄지고 있다는 보도들이 있다"면서 이 같이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23일 창당이 예고된 국민의힘 비례정당에 대해 "우리는 그렇게 하지 않겠다"면서 " 피치 못할 사정(준연동형 비례제)으로 '플랜B'로서 비례정당을 준비하고 있지만 국민의힘 (병립형 때와) 똑같은 기준으로 간명하고 투명하게 운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우리 비례 정당은 민주당 계열 비례처럼 조국 같은 사람, 창원 간첩단 관련 단체 사람, 종북으로 해산된 정당 후신 관련한 사람, 이런 사람들이 뒷구멍으로 공천되는 통로로 활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는 앞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국민이 그 (민주당 계열) 비례 정당에 표를 줄 때, 자기 표가 통진당 후신인 진보당에 15석 주는 방식의 딜 용도로 쓰일 것이라는 걸 알고 주는 건가. 그렇지 않다"면서 "병립형과 똑같은 결과를 내기 위한 도구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한 위원장이 지목한 '종북으로 해산된 정당의 후신'은 옛 통합진보당 출신들이 주류인 진보당으로, 앞서 언론은 이들이 민주당이 주도하는 범야권 통합비례정당 협상 과정에서 '지역구 할당' 등을 요구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실제 민주당과 진보당, 새진보연합, 연합정치시민회의는 지난 13일 민주개혁진보연합 연석회의를 열고 통합비례정당 창당과 선거 연대 방안을 논의한 결과 비례대표 추천, 지역구 연합을 포함한 통합을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 과정에서 진보당은 강성희 진보당 의원 지역구인 전북 전주을을 비롯해 경기 의정부을 (김재연), 서울 관악을 (이상규) 등 10석 안팎의 지역구 의석 할당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진보당은 지역구 할당 요구가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하지만 민주당 관계자는 “지역구 연합까지 한다고 했으니 진보당이 지역구 할당을 요구한 것은 맞다"며 "그러나 민주당은 반대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한편 녹색정의당은 민주당이 주도하는 범야권 위성 정당인 ‘민주개혁진보선거연합’에 불참하는 대신, 접전 지역구 연대는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준우 상임대표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지역구는 연대하고 비례대표는 독자적으로 대응하는 게 윤석열 정권심판 명분을 극대화하고 유권자 사표는 최소화하는 전략”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를 두고 당 지지율이 크게 떨어진 상황에서 비례 정당에 참여하는 것보다 ‘지역구 나눠 먹기’를 하는 것이 존재감을 지키는데 더 유리하다는 판단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당초 김 상임대표 등 지도부에선 민주당의 비례정당에 참여하자는 기류였으나 녹색당 출신들과 장혜영·양경규 의원 등의 반발을 뛰어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녹색정의당은 심상정(경기 고양갑), 배진교(인천 남동을), 강은미(광주 서구을), 이정미(인천 연수을), 여영국 (경남 창원성산) 등 전현직 의원들이 출마하는 지역구에 대해 후보단일화 등 민주당과 연대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정의당 일각에선 “후배들에게 자리를 내주기보다는 결국 자기네들이 배지 한 번 더 달아보겠다는 의도"라는 비판도 나온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