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전략공천 대폭 확대 방침... 최대 50곳 예상

여영준 기자 / yy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01-24 14:36:0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이기는 공천" ‘사천 논란' 잠재울 ‘공정성'이 관건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4.10 총선을 앞두고 국민의힘 ‘전략공천’ 지역이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현행 국민의힘 당헌-당규상 전략공천 지역구는 50곳 이내로 한정돼 있고 전체 국회의원 선거구의 20%를 초과할 수 없지만, 단수 공천을 활용해 ‘실질적인’ 전략공천 지역구' 규모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24일 “현역 의원 컷오프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전략공천 대상으로 예상되는 지역구가 이미 50곳은 된다”며 "공관위가 ‘전략-단수 공천 기준’을 활용해 사실상 전략공천 지역구를 늘리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공관위는 전날 우선공천 대상 지역구로 ▲제21대 총선 및 제8회 지방선거에서 패배한 지역 최근 국회의원 선거에서 3회 연속 패배한 지역 현역 국회의원이 컷오프되거나 불출마한 지역 지난 18일 당협위원장 일괄 사퇴 전 사고당협(당협위원장이 없는 당협) 공천 신청자의 여론조사 결과 타당 후보에 비해 경선 지지율 격차가 10% 이상인 지역구 등을 제시했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인천 계양을)과 김경율 비상대책위원 (서울 마포을)의 출마 예정지를 비롯해 사고당협 26곳과 하태경, 김웅, 장제원 의원 지역구 3곳이 이 기준에 해당되고 여기에 서울 동부권과 경기 지역을 합치면 실질적인 전략공천 지역구는 50곳이 된다.


국민의힘은 현실적으로 ‘전략공천’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공관위 관계자는 “수도권 탈환이 총선 승리의 가장 큰 조건이기 때문에 인재를 적재적소에 꽂는 것이 필요하다"며 "서울 동부권을 ‘청년 벨트’로 묶어 청년이라는 이유로 공천을 주는 것은 ‘이기는 공천’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공천 신청자 평가에서 교통정리가 잘 되면 굳이 전략공천을 하지 않아도 단수 공천으로 마무리되는 지역구가 생길 것”이라며 “단수 공천 기준도 꽤 높아졌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출마예정자들의 관심이 단수 공천 기준에 쏠리는 모양새다.


앞서 국민의힘이 제시한 단수 공천 기준 중 ‘복수 공천 신청자 중 1인의 경쟁력이 월등한 경우’는 ‘도덕성 평가(15점 만점) 10점 이상’ 득점을 기본 전제로 하고 있다.


특히 ▲무한 감점이 가능하고 공관위의 정성평가 영역이며 %가 아닌 ‘점’으로 감한다는 도덕성 평가는 공천을 좌우할 ‘주요변수’로 꼽힌다.


이러다 보니 당내에서는 “공천 신청이 웬만한 경선보다 어렵고 까다롭다”는 불평까지 나오고 있다.


실제 공천 신청자는 ▲해외 골프여행 경험 ▲자녀의 해외 유학 등 세세한 내역까지 공개해야 하고 탈당 이력의 경우,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 소속이었다는 사실을 입증할 자료도 필요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