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 의원들이 선택의 갈림길에 섰다.
이재명을 지키고 공천을 보장받느냐, 양심을 지키고 금배지를 다시 다느냐,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는 딱한 상황에 놓인 것이다.
이재명 체포동의안 표결을 앞둔 민주당 의원들의 난감한 처지를 두고 하는 말이다.
실제로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을 재가함에 따라 법무부가 국회에 체포동의안을 접수했다.
국회의장은 체포 동의를 요청받은 후 처음 개의하는 본회의에서 이를 보고하고, 보고된 때부터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 표결에 부쳐야 한다. 이런 국회법에 따라 아마도 20일 체포동의안이 본회의에 보고된 뒤 21일에는 표결에 부쳐질 것이다.
체포동의안은 재적 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 의원 과반이 찬성하면 가결된다.
가결되면 이재명 대표는 일반 피의자들처럼 법원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심사)을 받아야 한다.
사실 지난 6월 이재명 대표가 불체포특권 포기를 선언한 만큼, 체포동의안이 국회로 넘어오면 ‘가결’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했었다. 적어도 이재명 대표의 뜬금없는 단식이 시작되기 전까지는 그랬었다.
그런데 그가 단식을 시작하면서 동정론이 일기 시작하더니 병원으로 긴급 이송되면서 태풍처럼 ‘부결’ 주장에 힘이 실리기 시작했다.
이재명 대표의 단식 목적이 ‘체포동의안 부결’이라면 일단 성공을 거둔 셈이다.
실제로 이재명 대표의 체포동의안 표결을 앞두고 당내에서 ‘부결’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이 대표 지지자인 개딸들이 민주당 의원들에게 체포동의안 부결을 요구하는 문자 폭탄을 보내는가 하면, 노골적으로 “가결 표 던지는 의원을 색출하겠다”라는 협박성 발언까지 나왔다.
친명계 원외 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 강위원 사무총장은 이날 야권 성향 유튜브인 ‘새날’에 출연해 “이번에 가결 표 던지는 의원들은 끝까지 추적, 색출해서 당원들이 그들의 정치적 생명을 끊을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다.
그러면서 무조건 부결해야 한다고 했다. 부결을 당론으로 채택해야 한다고도 했다.
강 사무총장이 누구인가.
그는 이 대표의 측근 중의 측근 인사로 이 대표가 경기도지사 재임 당시에는 경기농수산진흥원과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 등 경기도 산하기관에서 기관장을 지냈고, 이재명 대선 캠프에서는 일정 담당을 했던 자다. 따라서 그의 이 같은 발언은 이재명 대표의 뜻을 반영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아니나 다를까.
친명계 의원들은 앞다퉈 ‘부결’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친명계 초선 모임인 '처럼회' 소속 장경태 민주당 의원은 전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저희는 8월에 비회기 기간에 연장을 청구하라고 분명히 충분히 시간을 드렸고 그 시간을 거부한 검찰에 협조할 의사가 전혀 없다"라며 ‘부결해야 한다’는 의사를 피력했다.
부결 시 민심의 역풍을 맞을 것이란 일반의 예상을 일축하며 “역풍은 없다”라는 강경 발언도 나왔다.
친명계 민형배 민주당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부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라면서 "(부결되어도) 민심의 역풍 우려도 크게 없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과연 그럴까?
지난 2월 위례·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 성남FC 불법 후원금 의혹으로 청구된 이 대표에 대한 첫 번째 구속영장은 체포동의안 부결로 자동 기각됐다.
만약 이번에도 부결된다면 성난 민심이 총선에서 회초리를 들 것은 불 보듯 빤하다. 더구나 불체포특권을 내려놓겠다고 선언해 놓고 이를 손바닥 뒤집듯 뒤집는 것이어서 그 분노는 더욱 거셀 것이다. 국민은 조롱당했다는 생각이 들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 선택의 시간이 성큼 다가오고 있다.
소신을 버리고 당 대표를 위해 ‘반대표’를 던져 당선 가능성이 희박한 공천을 보장받을 것이냐, 아니면 당을 위해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찬성표’를 던지고 금배지로 한 걸음 더 나아갈 것이냐. 선택은 자유이지만, 그 결과에 다른 책임은 오롯이 그대들이 져야 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