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국민의힘 당원게시판에 한동훈 대표와 그 가족 이름으로 수백건의 윤석열 대통령 부부 비방글이 게시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는 데 대해 장예찬 전 최고위원이 20일 "(한 대표)가족 중 1인의 소행일 가능성이 100%"라며 "추론이 아니라 여러 가지 객관적 증거와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고 한 대표 부인 진은정 변호사를 '몸통'으로 지목했던 기존의 주장을 이어가 주목된다.
장 전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에서 "(당원 게시판에)한동훈 대표의 장인, 장모, 모친, 배우자, 딸까지 모두 5명의 이름이 등장한다. 대부분 9월부터 11월까지 900여건 이상의 게시글이 집중적으로 올라왔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진은정 변호사를 몸통으로 지목한 근거가 뭐냐'는 진행자 질문에 "양가 부모님과 미국에서 공부하는 딸 명의까지 동원됐다"며 "이 명의를 다 동원해 인증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한 대표)가족 중에는 진은정 변호사 밖에 없다"고 대답했다.
특히 그는 "이 분(진 변호사)이 맘카페 활동 열심히 했다는 건 월간조선 기사에도 나와 있다. 이런 온라인 커뮤니티 여론 활동에 능하다는 것"이라며 “최초로 등장한 계정은 한동훈 대표 장모, 진은정 변호사의 모친 계정인데 게시(횟수) 제한이 없을 때는 하루에 몇십건, 많게는 50건 가까이 올렸다”며 “9월10일(부터) 하루 3개로 게시글 제한이 생기자 그때부터 다른 가족들(계정)이 갑자기 등장한다”고 전했다.
이어 "흔한 성씨인 최, 한, 허 계정으로는 대통령 부부와 주위 정치인들을 향한 극렬한 비방글이, (반면)한 대표를 향해서는 엄청난 미담ㆍ미화들이 올라간다"며 "특히 '진씨' 계정은 최대한 등장 시기를 늦추고 내용도 기사나 칼럼 위주인데 (게시 횟수가)제한되자마자 다른 가족들 계정으로 등장해서 감정적인 글들을 쏟아내는데 패턴이 명확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원게시판에서 대통령 부부나 주위 정치인들 비난했다는 게 문제가 아니라 불법적으로 가족 계정을 동원해서 여론조작을 했다는 게 문제의 핵심"이라며 "9월18일 7시49분, 한동훈 대표 딸 이름으로 당원게시판에 오른 글이 똑같은 내용으로 같은 날 8시25분 디시인사이트 갤러리에도 올라온다"고 주장했다.
이어 "(예를 들자면)'한동훈은 21세기에 필요한 융합 인재다' 내용에서 '융합 인재'라는 표현은 잘 안 쓰지 않는 매우 독점적인 표현"이라며 "당원게시판에서만 여론조작을 한 게 아니라 디시인사이드와 같은 대형 커뮤니티나 네이버 댓글에서도 당원게시판 글과 똑같은 (내용의)댓글을 지속적으로 남긴 계정도 다 발견했다. 주로 한동훈 대표 딸 한지윤 계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평일에는 주로 밤 11시 이후 가족들 5명이 1분 간격으로 당원 게시판에 우르르 등장하고 주말에는 낮 12시, 오후 1시에 많이 집중돼 있다"고 활동시간대를 특정하면서 "정치적으로 봤을 때 다른 사람, 가족 아이디를 이용해서 여론조작을 했으면 결코 간과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김경수 전 지사는 징역 2년이 나왔다"고 강조했다.
당내 친한계 인사들이 경찰 수사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는 데 대해서는 "결국 시간 끌고 뭉개겠다는 뜻"이라며 "(당원게시판 서버)압수수색 상황까지 끌고 가겠다는 건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 된다"고 반박했다.
특히 "게시판 관리 주체가 국민의힘 홍보국이고 홍보국장이 바로 확인할 수 있는데 당원 신상 확인 안 된다는 말은 가증스러운 거짓말"이라며 "그게 확인이 안 되면 한동훈 대표와 다른 동명이인들의 신상(계정)은 어떻게 확인했냐"라고 따졌다.
그러면서 앞서 "가족이 했으면 뭔 상관이냐 무슨 문제냐"라며 자신의 주장을 반박했던 조경태 의원을 향해 "사실상 자백 아니냐"고 화살을 날렸다.
조 의원은 전날 오후 YTN 라디오에서 "(무소속 신분인)장예찬 전 최고위원은 남의 당에 너무 지나친 애정과 사랑을 안 보내도(된다)"고 날을 세우면서 "(당원 게시판)관리자들이 앞으로 효율적으로 잘 운영해 나가면 된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당원게시판 논란이 친윤ㆍ친한 갈등 재연으로 평가된다'는 진행자 지적에 "친윤ㆍ친한 갈등이 계속 이어졌을 때 우리 당이 어떤 국민에게 비전을 이야기할 수 있겠는가"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한 대표는 전날 ‘가족 명의도용 여부를 밝히라는 요구가 있다’는 취재진 질문에 “특별히 더 말씀드릴 것이 없다”며 기존의 침묵 모드를 고수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