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3호 혁신안’ 의결 거부...민주, 수용 여부 미지수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여야 모두 내부에서 청년 공천을 위한 아이디어를 쏟아내지만, 당 지도부가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더불어민주당 총선기획단은 29일 현역의원 불출마 지역구를 포함한 전략지역에 청년·여성을 우선 공천하기로 했다. 당헌이 규정한 지역구 여성 30% 공천 의무를 준수하도록 제안하기로 했다. 공천심사와 경선에서는 청년·여성 우대를 강화하기로 했다.
한병도 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이같은 내용을 당 지도부에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총선기획단은 먼저 청년 후보자가 출마하는 지역은 경선을 원칙으로 하기로 했다. 청년·여성 후보자와 정치신인 후보자가 경선하는 경우 정치신인의 가산점을 20%가 아닌 10%로 제한하기로 했다.
또 20·30세대 출마자들에게는 경선 비용을 면제하기로 했다. 공천심사 등록비, 공천관리위원회 및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기탁금을 면제한다. 4년 전 20대 총선 때는 20대 출마자에게는 공천심사 등록비와 기탁금을 전액 면제했고, 30대에게는 50%만 면제했는데 전액 면제 대상을 20·30세대로 확대한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총선기획단의 안을 당 지도부가 어디까지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앞서 국민의힘 지도부도 내년 총선 비례대표 당선권에 45세 미만 청년을 50% 할당하는 내용 등을 담은 혁신위원회의 ‘3호 혁신안’ 의결을 거부한 바 있다.
절차상 지도부가 아니라 공천관리위원회가 결정할 사안이라는 이유에서다.
당시 혁신위는 ▲비례대표 당선권 순번 청년 50% 공천 의무화 ▲청년전략지역구의 청년 후보자 공개경선 후 공천 ▲공개오디션 방식으로 청년 후보자 선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산하 각종 위원회의 청년 참여 의무화 및 확대 등을 담은 3호 혁신안을 당 지도부에 제안했다.
하지만 이날 최고위원회는 혁신안을 의결 안건으로 상정 하지 않았다.
다만 정치 신인 청년을 배려할 수 있는 공천 기반을 세우는 방안으로 연령대별로 가산점을 차등 부여할 방침이다.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최고위는 혁신위의 치열한 논의와 발전적인 방안에 대해 존중한다”면서도 “공관위가 구성되면 결정해야 하는 사안이고 당헌·당규 개정 사안도 포함돼 있어 논의가 필요한 사안들”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