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김점영 기자] 경남도가 191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될 2025년 신소득작물 육성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기후변화 대응 신소득작물 육성 및 지원 조례'에 따라 도가 올해 시행할 계획으로 3개 분야, 9개 시행 사업으로 구성됐다.
분야별로는 ▲신소득작물 재배농가 실태조사 1개 사업 ▲신소득작물 기술 및 품종 보급(3개 사업ㆍ9억원) ▲신소득작물 안정적인 생산기반 확대(5개 사업ㆍ182억원)로 구성됐다.
주요 사업은 ▲신소득작물 정책효과 분석을 위한 실태조사(1건) ▲만감류, 파파야, 블루베리, 키위 등 기후변화 적응 아열대 과수 재배기술 개발(5억원) ▲신소득작물 품목별 전문교육(34회ㆍ1억원) ▲경남도 국내육성품종 종자, 종묘 보급(38haㆍ3억원)이다.
또한 ▲도내 김해, 함안, 의령, 거창 등 지역 특화품목 육성단지 조성(134억원) ▲과수고품질시설현대화(35억원) ▲통영, 거제, 하동 지역의 아열대 과수에 대한 기후변화 선제적 대응(3억원) ▲김해 지역의의 대체품종 활용 과수 우리품종 특화단지 조성(2억원) ▲창원, 고성, 하동, 합천 지역의 만감류 특화생산단지 육성(8억원)이 추진될 계획이다.
계획에는 주요 정책과제 및 지표도 담았는데, 신소득 아열대 작물 확산을 위해 재배면적을 올해 100ha까지 늘리고, 장기적으로 2029년까지 150ha까지 확대하며, 신소득 아열대 작물 재배기술 개발을 위해 올해 6품목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진행하는 등 2029년까지 10품목으로 확대 보급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후변화 적응에 용이하고 시장성이 있는 만감류, 애플망고 등 8품목을 지역특화 전략품목으로 지정해 육성하고 2029년까지 15품목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