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계엄령 해프닝'으로 정국이 요동치고 있는 가운데 갑자기 분주해진 더불어민주당 비명계 인사들 동향을 두고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독일에서 유학 중인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모든 일정을 취소하고 최대한 빨리 귀국하겠다"며 당초 2025년 2월까지였던 체류 일정을 앞당겨 귀국길에 올랐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새벽 페이스북 글을 통해 "대통령에 대한 시민들의 자진 사퇴 요구는 대통령 스스로가 자초한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대통령에게 헌법적 책임을 엄중하게 묻고 처리하기 위한 탄핵 절차는 마땅히 추진되어야 한다"며 "우선은 이번 사태의 책임을 지고 내각이 총사퇴하는 게 순리"라고 지적했다.
특히 "여야도 더는 정쟁할 상황이 아니고 지금은 국회가 나서서 국정의 중심을 잡아야 한다"며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 '위기관리 중립내각'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려되는 일이 하나 더 있다. 이번 사태를 촉발한 군 일각에서 어려움을 모면하기 위해 국지전과 같은 의도적 군사 충돌상황이나 준전시 상황을 유발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라며 "계엄을 건의한 국방부 장관은 탄핵을 통해 시급히 직무를 정지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윤 대통령의 '2시간 쿠데타'가 나라를 벼랑 끝으로 내몰았다"며 "나락에 빠진 경제, 혼란에 빠진 사회, 무너져 내린 민주주의는 누가 책임져야 하느냐"고 존재감을 드러냈다.
김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윤 대통령은 이제 '탄핵 대상'이 아닌 '체포 대상'''이라고 주장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이광재 전 국회 사무총장도 메시지를 냈다.
임 전 실장은 "이제 대통령 탄핵 외에는 다른 길이 없어졌다"며 "국회는 반드시 여야 합의로 대통령 탄핵안을 상정하고 의결하라"고 촉구했다.
이광재 전 총장은 "다시는 이런 일이 상상조차 되지 않도록, 쿠데타는 법과 국민에 의해 반드시 심판받을 것"이라며 "국회는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질서 있고 단호하게 대처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정치권 한 인사는 “윤 대통령 탄핵론이 대두된 상황에서 '조기 대선' 현실화를 염두에 두고 존재감을 드러내려는 행보로 보인다”면서도 "이들의 이해관계 때문에 오히려 윤 대통령 탄핵 가능성이 희박해지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