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감염자 '5~11세 25%' 최다
[시민일보 = 박준우 기자]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됨에 따라 재감염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일주일간(13~19일)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전주(10.68%)보다 증가한 12.11%를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해당 기간에 발생한 신규 확진자 8.26명 중 1명은 두 번 이상 감염된 확진자인 것이다.
지난 20일 오전 0시 기준 누적 확진자 2568만6216명 중 2회 이상 감염된 자는 71만1642명응로 전체의 2.76%며, 이 중 2461명은 3회 감염자다.
2회 감염자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11세가 25.35%로 가장 많다. 뒤 이어 18~29세 14.87%, 30~39세 12.6%, 40~49세 10.68% 순이다.
아울러 1회 감염자의 연령 표준화 치명률은 0.11%, 2회 감염자는 0.1%를 보이는 등 2회 감염 치명률의 경우 1회 감염 치명률에 비해 다소 낮은 편인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화된 2022년 이후 확진자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2회 감염시 연령표준화 사망 위험도는 1회 감셤 시 위험도에 비해 약 1.3~3배 높게 나타났다.
지난 7월24일 오미크론 하위 BA.5 변이가 우세화된 이후 1회 감염자 연령 표준화 치명률은 0.06%, 2회 감염자 치명률은 0.1%로 2회 감염자 치명률이 1.72배 높았다.
특히 2020년 1월 이후 전체 치명률을 기준으로 살펴보더라도 40·50·60대에서는 2회 감염자의 치명률이 각각 0.02%, 0.06%, 0.22%로 1차 감염 때보다 0.01%, 0.03%, 0.17% 높다.
방대본은 "오미크론 우세화 시기에 재감염 구성비가 증가 추세이고, 재감염시 사망 위험도 또한 높다"며 "예방접종은 재감염과 중증 진행을 낮추기 때문에 과거 감염력이 있더라도 권장 접종 시기에 맞춰 예방접종을 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