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장관은 이날 오전 S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걱정해왔던 노조의 집단행동도 관련 협상이 대부분 타결됐고, 급증하던 코로나19 환자수도 감소 추제에 들어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물론 위험요인이 있는 것도 사실인데 전공의 의존도가 높은 권역센터의 경우 병상이 축소되고 있고 전문의가 이탈하고 있지만 정부는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벌써 세차례 대책을 발표했는데 이번 추석 때는 중증환자 전담응급실도 운영하고 제일 중요한 건 인력 지원인데 그것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리고 또 배후진료가 중요한데 배후진료에 대한 수가인상을 통해 차질없이 대응해나가도록 하겠다. 문제는 응급실만의 문제가 아니라 배후진료의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솔직히 의료계 집단행동 이전부터 있었던 문제이기 때문에 이건 의료개혁을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제일 중요한 건 의사들의 부족”이라며 “권역응급의료센터의 경우 전공의가 30%를 차지했는데 지금 현장을 다 나가서 인력이 부족한 게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군의관, 공보의를 핀셋지원하고 일반의를 채용하실 경우 인건비도 지원하고 나름대로 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조금 어렵지만 추석 때에는 응급실에 내방하시는 환자분들이 많으신데 본인들보다 조금 더 중증인 분들에게 응급실을 양보하시고 대신 추석연휴 때 4000여개의 동네 병의원 문을 열게끔 지원할 것이기 때문에 동네 병의원을 먼저 찾아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최근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제안한 2026년도 의대증원 유예 부분에 대해서는 “의사인력 수급균형을 늦추게 될 것이고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확충에 상당한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도 “2025학년도 입학정원은 되돌릴 수는 없고 2026년의 경우 대학입학시행계획에서는 2000명(증원으로) 고시를 했지만 의료계가 단일안을 제출할 경우 마음을 열어놓고 논의한다고 몇 번 입장을 밝혔다”며 “특히 의료개혁특위에서 완성될 인력수급추계기구가 구성되면, 그리고 의료계가 참여한다면 충분히 추계기구를 활용한 논의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