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항원검사 양성' 76%만 최종 확진

여영준 기자 / yy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02-03 15:34:2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자가검사 민감도는 20% 미만
의료인이 시행해도 50% 미만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고 양성이 나온 사람 중 76.1%만 유전자증폭(PCR) 검사로 최종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광주광역시, 전남도, 경기 평택시, 경기 안성시등 4개 지역의 41개 선별진료소에서 지난 1월26∼31일 신속항원검사 8만4000건을 시행했으며 이 가운데 0.8%인 687건이 양성으로 확인됐다.

광주광역시 등 4개 지역은 오미크론 변이가 빠르게 우세화해 '오미크론 대응체계'에 따른 새로운 검사·치료체계를 다른 지역보다 먼저 지난 1월26일부터 도입한 지역이다.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PCR 검사로 연계해 확진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는 게 중대본의 설명이다.

PCR 검사에서 양성이 나와야 최종 확진이다. 신속항원검사 양성 후 진행한 PCR 검사에서도 양성이 뜬 경우는 523건으로 집계됐다. 23.9%인 164건은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왔지만 PCR 검사에서는 음성으로 확인됐다.

신속항원검사는 검사 후 15∼30분 정도 뒤면 결과를 알 수 있지만, 정확도는 PCR 검사보다 떨어진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는 신속항원검사의 민감도(감염된 환자를 양성으로 진단하는 비율)가 의료인이 시행해도 50% 미만, 자가 검사로 시행하면 20% 미만으로 낮다고 지적했다.

같은 기간 광주광역시 등 4개 지역에 있는 호흡기전담클리닉 43곳에서 시행한 신속항원검사는 총 4246건이고, 이 가운데 3.4%인 146건에서 양성이 나왔다.

호흡기전담클리닉에서 하는 신속항원검사는 의료인이 전문가용 자가검사키트로 검사한다. 그러나 호흡기전담클리닉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후 PCR 검사로 확진 판정을 받은 최종 양성률은 파악되지 않았다.

새 검사체계에서는 60세 이상 고령층, 확진자와 역학적 연관이 있는 사람, 의사 소견을 받은 유증상자,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사람 등 고위험군만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1월26∼31일 광주광역시등 4개 지역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를 진행한 건수는 19만건으로, 신속항원검사 시행 건수의 2배가 넘었다.

정부는 이날부터 전국의 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에서도 고위험군를 대상으로만 PCR 검사를 진행하는 새로운 검사체계를 전격 시행했다. 또 전국의 391개 호흡기전담클리닉과 지역사회 병·의원 343곳에서도 신속항원검사를 시작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