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로가 토대로 심층상담 진행해 복지 서비스 지원
[창원=김점영 기자] 경남도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복지사각지대 초기상담시스템을 도입해 더욱 신속하고 촘촘하게 복지사각지대를 집중 발굴한다고 밝혔다.
올해 5월 구축을 완료한 인공지능(AI) 초기상담시스템은 연말까지 시범사업으로 추진되며, 경남에서는 창원시 등 13개 시ㆍ군(전국 101개)이 선정됐다.
이 사업은 위기발굴시스템이 45종의 위기정보(단전ㆍ단수ㆍ체납 등)를 바탕으로 발굴한 위기 의심가구에 인공지능시스템이 직접 초기상담을 수행한다.
상담 절차는 인공지능시스템이 위기가구에 사전 안내문자를 발송해 전화를 걸면 본인확인을 거쳐 위기상황을 파악하게 되며, 상담 결과는 읍ㆍ면ㆍ동 담당자에게 자동으로 전달된다.
담당공무원은 인공지능의 초기상담 내용을 바탕으로 심층상담을 진행해 위기 서비스를 지원한다.
최근 1인 가구 증가ㆍ고령화 등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위기가구 증가로 많은 지자체가 복지행정력 부족을 호소하는 상황에서, 이번 시스템 도입으로 읍ㆍ면ㆍ동 공무원은 심층상담과 방문지원ㆍ연계 등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돼 효율적인 복지서비스 제공이 기대된다.
도는 인공지능(AI) 초기상담시스템을 올 연말까지 전 시ㆍ군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고독사 반려로봇 등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양한 복지사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