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검출률 92% 넘어··· 중증화 지표는 약화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방역당국이 이달 말경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3만명에서 많게는 17만명 수준에 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은 7일 정례 브리핑에서 "질병관리청과 국내외 여러 전문가의 코로나19 발생 예측 결과에 따르면 높은 전파력의 오미크론 영향으로 2월 말경 국내 확진자가 13만명에서 17만명 수준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상원 질병청 위기대응분석관은 "앞으로의 유행 속도와 전파 가능성, 감염 확률, 예방접종 효과 등을 종합한 모델링 결과"라며 "복수의 연구 결과가 어느 정도까지 일치하는지를 따져 하루 신규 확진자 수를 따졌으며, 대부분의 연구자가 13만명 이상의 환자 발생 가능성에 동의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전했다.
이 분석관은 "국내외 예측 기관에 따르면 2월 말이 정점일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라며 "다만,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예측은 가능하지만 확인 드리긴 어렵다"고 밝혔다.
앞서 방대본은 지난 1월21일 '단기예측'에서 오미크론의 전파율을 델타의 3배로 가정할 경우 신규 확진자는 2월 중순 2만7000∼3만6800명, 2월 말 7만9500∼12만2200명이 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실제 오미크론 변이가 국내에서 우세종·지배종화하면서 예상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1월 셋째주에 처음으로 50%를 넘었던 오미크론 검출률은 1월 넷째주 80%, 지난주 92.1%로 높아졌다.
지난주(1월30일~2월5일) 전국 코로나19 위험도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3주 연속 '높음'으로 평가됐다.
방대본은 "일평균 재원 위중증 환자 수는 직전주 369명에서 272명으로, 주간 사망자 수도 같은 기간 183명에서 146명으로 감소하는 등 중증화 지표들은 약화되고 있다"면서도 "환자 발생 증가가 높다는 점을 고려해 앞으로 잠재적인 위험이 있다고 판단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방역 당국은 한정된 방역·의료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오미크론 대응 방역 체계 전환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정 본부장은 "위중증 환자, 사망 수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확진자 규모가 단기간에 급증할 경우 위중증 환자 수가 증가해 의료대응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고위험군의 신속한 진단과 치료에 집중하고, 방역·의료체계가 지속 가능하도록 진단검사, 역학조사 관리체계를 효율화하는 것이 기본 방향"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