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7명 "코로나로 소득 줄었다"··· 月 평균 124만원

박준우 / pjw1268@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03-03 16:07:1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하루 근무시간 평균 43분↓
동거가족외 사교활동도 감소
정부 방역정책 '우호적 평가'

[시민일보 = 박준우 기자] 국민 10명 중 7명은 코로나19로 인해 소득 감소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줄어든 사람이 밝힌 평균 감소액은 월 124만8000원으로 조사됐다.

3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행정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코로나19 방역정책에 대한 실태조사'(홍성우, 임현철)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11월15~22일 전국 18세 이상 20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68%는 조사 시점인 2021 평균 월소득(세전)이 코로나 이전인 2019년보다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이중 30%는 증가했다고 응답했고, 2%는 월소득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소득이 감소했다는 응답자의 평균 소득 감소 금액은 124만8000원이었다. 반면 증가했다고 답한 응답자들의 소득 증가액은 평균 78만6700원이었다.

이와 관련해 소득이 감소했다는 응답자의 비율과 감소액을 자세히 살펴보면 ▲100만원 이하 79.5% ▲101~200만원 12.6% ▲201~300만원 3.1% ▲301만원 이상 4.8%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행정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소득이 대폭 증가한 집단보다 대폭 감소한 집단이 많다는 조사 결과는 코로나19 사태로 중산층의 비율이 그만큼 감소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응답자들의 경제활동 시간은 코로나19 전 하루 평균 6.34시간이었던 것이 코로나19 발생 이후 평균 5.62시간으로 0.72시간(43분) 줄었다.

반면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가사와 돌봄 활동 시간은 코로나19 전후로 2.6시간에서 3.31시간으로 0.71시간(42.6분) 늘었다.

아울러 동거하는 가족과의 친목활동 시간 역시 1.84시간에서 2.03시간으로 0.19시간(11.4분) 증가했지만, 동거하는 가족 외 사교활동 시간은 1.6시간에서 1.16시간으로 0.44시간(26.4분), 학업과 자기개발활동 시간은 1.7시간에서 1.65시간으로 0.06시간(3.6분) 각각 줄었다.

이외에도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에 대해서는 각각 39.2%와 43.7%가 '나빠졌다'고 답해 각각 5.0%와 5.4%인 '좋아졌다'는 응답보다 훨씬 많았다.

또한 가족 친척과의 관계에서는 동거하는 경우 코로나19 전후 별 차이가 없었지만, 동거하지 않는 경우 '나빠졌다'는 응답이 20.4%로 '좋아졌다'는 응답(6.7%)보다 높았다.'

방역패스와 사회적 거리두기를 포함한 정부의 정책에 대해서는 대부분 우호적인 평가가 나왔다.

다만, 조사가 진행된 시점이 '위드 코로나'(2021년 11월1일)가 시작돼 확진자수가 급증하던 때이며, 상대적으로 감염력이 약한 오미크론이 퍼지기 전이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5점 만점 평가에서 '마스크 의무착용'(4.55점), '해외입국자 전원에 대한 의무격리'(4.31점), '유흥시설에 대한 집합금지'(4.26점), '이주노동자 코로나19 진단검사 의무화'(4.17점), '종교활동 제한'(4.13점), '대중집회에 대한 원천 불허'(4.09점) 등이 4점 이상의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한국행정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재난지원금의 추가지급 같은 수혜 범위가 넓은 정책보다는 취약계층, 소상공인 등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은 계층에 대한 선별지원정책을 선호한다는 여론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 기존 방역정책의 기조 유지 ▲ 일정수준의 거리두기, 방역패스 등 방역 규제의 지속 ▲ 재난지원금 지급에 대한 사회적 합의 ▲ 재난상황 극복을 위한 자원봉사 체계 정비 등을 코로나19 관련 정책으로 제언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준우 박준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