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확진 신규 확진자 규모 세계 2번째

홍덕표 / hongdp@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02-24 16:15:3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100만명당 확진자 3342명
인구 1000만명 국가 중 1위
정부 "다른 국가들 정점 지나"

[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국내 하루 신규 확진자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가 24일 오전 0시 기준으로 집계한 신규 확진자 수는 17만16명으로, 전날(17만1451명)에 이어 이틀 연속 17만명대를 기록했다.

코로나19 관련 국제 통계사이트 '아워월드인데이터'가 이달 22일 기준으로 집계한 최신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확진자 수는 17만1448명으로 독일 22만1478명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다.

다음으로는 러시아(13만2912명), 브라질(10만3493명), 미국(9만9820명), 프랑스(9만7382명), 터키(8만6070명), 일본(6만9447명), 이탈리아(6만137명) 순으로 신규 확진자 수가 많다.

100만명당 국내 확진자 수는 약 3342명이다.

이 순위가 높은 나라는 덴마크(5243명), 싱가포르(4773명) 등 총인구가 1000만명이 되지 않는다.

인구가 1000만명 넘는 나라 중에서는 한국의 100만명당 확진자 수가 세계 최다인 셈이다.

신규 확진자 수가 더 많은 독일의 경우 100만명당 확진자 수는 2640명으로 한국보다 700명가량 적다.

프랑스는 1444명, 영국은 606명, 일본은 551명, 미국은 300명 등이다.

이와 관련해 방역 당국은 이미 유행 정점을 지나 감소세로 접어든 국가들과 현재 국내 상황을 비교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고재영 질병관리청 대변인은 전날 방대본 백브리핑에서 관련 질의에 "다른 국가들은 우리보다 이른 시기에 높은 발생을 보이고 감소 추세로 들어선 것"이라며 "국가별로 유행 시기가 다르고 우리는 유행 시기가 늦은 점이 있어, 이를 고려하지 않은 비교는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내 정점 규모와 시기에 대한 전망은 전문 연구기관 사이에서도 엇갈리고 있다.

유행 정점에 달하는 시기는 각 기관에 따라 이달 28일부터 오는 3월 22일까지 다양하다.

다만, 대부분 정점 시 확진자 규모가 20만명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33만명 이상의 예측치도 나왔다.

전날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감염 재생산지수가 1.67일 경우 일일 확진자 수가 1주 뒤 21만3332명, 2주 뒤 33만4228명에 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홍덕표 홍덕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