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지만, 화재로 인한 사고는 꾸준히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화재에 대한 무서움과 예방에 대한 중요성은 알고 있으나, 나에게는 일어나지 않을것이라는 생각으로 인한 무관심과 부주의함이 원인이라 볼 수 있다.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의 목적은 단 하나,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함이다.
대부분의 화재가 심야 취약시간대에 발생하지만 화재발생을 조기에 인지하지 못해 많은 사람들이 유독가스를 흡입하여 사망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화재를 인지하더라도 초기에 소화를 할 수 있는 소화기가 비치되지 않아 초기진압에 실패해 사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막기 위해 단독 경보형 감지기와 소화기 이 두가지의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가 제도적으로 의무화가 된 것이다.
기초소방시설의 설치기준은 소화기의 경우 세대별, 층별 1개 이상이며, 단독경보형감지기의 경우 방, 거실 등 구획된 실마다 설치하면 된다.
화재발생 초기의 소화기 한개는 소방차 한 대의 역할을 한다 해도 과하지 않다. 하지만 눈에 잘 띄지 않는곳에 두어 찾지 못한다면 어떨까..? 소화기는 눈에 잘띄는 장소에 비치하여 위급상황 시 누구나가 찾기 쉬워야 할 것이다.
소화기와 더불어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소방시설로, 화재 발생 시 경보음을 울려 가족과 이웃들에게 화재를 초기에 진압 또는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미 눈에 잘 띄는 곳에 설치가 되어있더라도 한달에 한번정도 압력게이지가 정상범위인 초록색에 지침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위아래로 흔들어주는 등 정기적인 관리로 위급한 순간에 작동되지 않는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한다.
더불어 최근뉴스를 보면 차량운행 중 엔진룸에서 갑자기 불길이 치솟아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만약 이 차량에도 소화기가 있었다면 초기에 불길을 잡아 피해를 최소화시킬수 있었을 것이다.
이처럼 차량에도 소화기를 비치하여 차량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물론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대비하도록 하자.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