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수도권 아파트시장 직격탄

차재호 / / 기사승인 : 2010-07-11 19:00:4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매수자들 알짜 급급매물만 찾아… 매매가 서울 0.04%·경기 0.17% 하락 하반기 금리인상 전망이 제기되면서 지역별로 서둘러 집을 매도하려는 움직임이 엿보였던 한 주였다. 하지만 시장 자체에 집을 사겠다는 사람이 여전히 많지 않은데다 수요자들은 급매물 중에서도 가격이 가장 저렴하거나 로열층, 향이 좋은 알짜 급급매물만 선호하고 있어 거래성사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가격은 지난주보다 낙폭을 0.04%p 줄이며 0.04% 내리는 모습을 보였다. 서울이 -0.04% 약세를 나타냈고, 경기도는 -0.17%, 신도시(-0.13%)와 인천(-0.09%)은 전주보다 낙폭을 줄였지만 마이너스변동률을 벗어나지는 못했다.

서울 권역별로는 재건축 단지들의 반등 성공으로 강남권이 -0.02%로 소폭 내렸고, 비강남권 역시 지난주보다 낙폭을 줄이며 -0.05%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유형별로는 일반 아파트와 주상복합단지가 각각 0.05%씩 하락했고, 재건축 아파트값은 이번주 0.01%의 변동률로 지난 3월 이후 18주 만에 반등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였다. 재건축 구별로는 지난주까지 내리막길을 걸었던 송파구와 서초구가 각각 0.30%, 0.04% 올라선 가운데, 강남구(-0.05%), 강동구(-0.10%), 강서구(-0.42%)는 낙폭은 줄였지만 여전히 약세장이 지속된 한 주였다.

서울 일반 아파트 구별로는 중구가 -0.34%로 가장 많이 떨어졌다. 그 뒤를 강북구(-0.21%), 성동구(-0.13%), 광진구(-0.12%), 양천구(-0.11%), 노원구(-0.09%), 도봉구(-0.09%) 등의 순으로 하락세를 이었다. 이번주 강서구는 0.10%로 서울 25개 구 중 나홀로 상승장을 연출했다.

서울 재건축 시장은 지난 3월 이후 4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지만 급급매물 위주의 거래만 이뤄졌을 뿐 거래활성화로까지 이어지지는 못했다. 특히 송파구 주공5단지의 경우 롯데월드 호재에 재건축 안전진단까지 통과됐지만 발표직후 반짝 급매물 거래 이후 호가만 5000만원 이상 올랐을 뿐 거래는 멈춰진 상황. 현재 112㎡(34평형)는 5000만원이 올라 11억원에, 118㎡(36평형)는 8000만원이 올라 13억 원에 매매가가 형성돼 있다.

서울 일반아파트 시장은 올 초부터 거래가 끊기면서 1000가구 이상 대단지를 비롯한 역세권 단지들에서도 매물들이 소화되는 모습을 보기 어렵다. 하반기 금리인상이 예고되면서 서둘러 집을 매도하려는 집주인들이 나타나고 있지만 매수자와의 호가차이가 크게 나면서 좀처럼 집을 팔지 못하는 분위기다. 중구 황학동 황학아크로타워 172㎡(9억 3000만→9억원), 강북구 미아동 경남아너스빌 109㎡(4억 500만→3억 8500만원) 등이 매매가가 하락했다.

전주 보다 낙폭이 확대된 경기도는 동두천시(-0.65%)와 파주시(-0.63%)가 크게 하락했고, 군포시(-0.49%), 안양시(-0.36%), 용인시(-0.34%), 의정부시(-0.21%) 등 서울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약세장이 이어졌다. 상승세를 보인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경기도는 중소형 단지를 중심으로 내림폭이 확대됐다. 지난 하반기 소형 아파트 위주로 거래가 꾸준히 이어졌던 동두천시는 상패동 상패주공 56㎡(1억→9000만원), 생연동 내행주공 43㎡(8000만→7500만원) 등 33㎡(10평형)대 아파트들이 가격하락세를 경험했다.

신도시는 지난주 0.30% 이상의 내림폭을 기록했던 산본은 이번주 -0.19%로 낙폭을 줄였고, 평촌(-0.19%)은 지난주와 비슷한 수준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일산과 분당신도시는 각각 -0.14%, -0.13%의 약세를 보였다.

신도시 중대형 침체의 골이 깊어만 가고 있다. 132㎡(40평형)대 이상은 물론 99㎡(30평형)대도 최근 몇 달간 거래된 건수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급급매물이 나오더라도 거래하려는 수요는 찾기 힘들다.

지난주 보합세를 기록했던 인천 남구와 중구가 이번주 각각 -0.02%, -0.15%의 변동률로 하락세를 면치 못했고, 서구(-0.18%), 연수구(-0.15%), 계양구(-0.08%), 남동구(-0.08%), 부평구(-0.02%) 등의 순으로 하락세를 이었다.

꾸준히 거래가 이뤄지는 전세시장과는 달리 매매시장의 침체는 좀처럼 벗어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가격을 묻는 전화도 많지 않은데다 수요자들이 원하는 낮은 가격에 매물 자체가 나오지 않는 등 호가 차이만 점차 벌어지는 양상이다. 대형의 경우 1000만원 안팎, 99㎡(30평형)대 미만 중소형의 경우 250만~500만원 정도씩 주간 가격하락이 이뤄졌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차재호 차재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