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켓판매도 바닥을 맴돌고, 주요 사령탑 부재도 장기화될 조짐이다. 정부 고위직마저 대회를 계속할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주문하고 나섰다. 국무총리까지 나서 F1 지원 불씨를 되살리고 있는 가운데 악재가 끊이질 않아 전남도의 고민과 지역민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개최비 800억 중 국비 200억만 책정
F1이 직면한 발등의 불은 대략 4-5가지. 예산의 경우 지난해 필요사업비 880억원 가운데 국비 352억원이 ‘없던 일’로 되면서 경영난에 빠진 데 이어 올해도 개최비 800억원 가운데 국비 200억원만 책정된 상태다. 대회 운영비 90억원(운영비 총액 300억원의 30%)도 국비 지원이 안갯속이다.
50% 할인티켓이 조기마감된 것과 달리 30% 할인권은 판매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조직위 측은 “불경기와 지난해 운영미숙 등이 겹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재경 향우들을 상대로 마케팅을 펼치는 등 전방위적 활동에 나서고는 있으나 “녹록치 않다”는 게 조직위 입장이다.
◆외부 공동위원장 선임 수년째 지연
외부 공동위원장 선임이 수년째 지연되고 대회 공인총괄기구(ASN) 회장이 공석상태에 놓이는 등 이른바 ‘F1사령부’의 공백도 커지고 있다. 수백억원대 개최권료와 중계권료 재협상도 쳇바퀴 돌 듯 진전이 없고, 지방채 발행부담을 떠안으면서까지 전남도의회가 또 다시 수백억원대 신용장 개설을 승인할 지도 미지수다.
사면초가에도 정부의 지원불가론은 확고하다. 유성걸 기획재정부 제2차관은 23일 전남도청에서 열린 지방재정협의회에서 “2009년 이후 F1에 대한 진행상황을 쭉 보면 이건 국가사업이 아니라는 게 확실하다”며 “5000억원 가까운 사업이고 잔여 대회가 모두 끝나는 7년 후면 로열티만 800억원에 달함에도 이를 공공재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말했다.
◆정부, F1 손떼기 신호탄?
국비 지원에 대해서도 “경주장 건설비 3400억원 중 (민간 PF 1640억원을 제외한) 1760억원의 30%인 528억원을 지원했고, 추가건설비 1000억원 가운데 200억원도 올해 예산에 반영시켰다”며 “(정부로선) 해줄 건 다 해 줬다”고 못박았다. 애당초 조건부 승인된 F1에 대한 감사원의 대대적인 감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에 나온 발언이어서 정부의 F1 손떼기 신호탄이라는 해석도 제기되고 있다.
속도감있게 풀려야 할 F1 현안이 곳곳에서 덜컹거리면서 전남도의 속앓이도 깊어가고 있다.
조직위 관계자는 “F1은 재정자립도 최하위인 전남을 살릴 방안 중 하나로 추진됐고, 대규모 해외자본 유치의 창구로 기대를 모았으나 국회 파행과 정부 지원 부족 등으로 난관에 봉착해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F1조직위 관계자는 “첫 단추가 분명 잘못됐지만 설령 장애를 안고 태어났다고 자식을 버릴 순 없듯 막대한 혈세가 투입된 F1을 이제 와서 접는다는 것도 무책임한 생각이라고 본다”며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