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특유의 안정적 유통망을 바탕으로 해외 명품 브랜드에 대한 전속적 수입·판매를 통해 이윤을 내고 있다는 지적이다.
4일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에 따르면 외국 명품 브랜드에 대한 국내 대형 수입업체들의 전속적 유통 구조는 각 그룹 계열사의 유통라인을 통한 판매망을 구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에게 돌아가야 할 관세 인하 효과가 유통 업체의 마진으로 상당 부분 넘어간다는 것이다. 또 몇 개 대기업의 전속적 유통 과정에서 유통 업체 간 암묵적인 가격 담합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도 우려할만한 상황이라고 학회는 지적했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국내 250개 유통기업 중 31%의 기업은 한미 FTA 이후 수입품 판매가를 내리지 않겠다고 답했다. 가격을 내리겠다는 업체 중 75%는 판촉비 및 복잡한 유통구조를 이유로 관세인하 분 중 일부만 가격에 반영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학회 관계자는 “FTA 효과를 충분히 누리기 위해서는 명품을 취급하는 대형 리테일러(유통 체인)들의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