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83% "北, 가장 안보 위협"…자발적 보수화

이영란 기자 / / 기사승인 : 2013-05-02 17:09: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42.4% "북한은 적대적 대상"…"협력 대상" 31.2% 그쳐
김미현 알앤서치 소장 "연평도 사태ㆍ천안함 폭침 영향"
[시민일보] 우리나라 20대 젊은 층이 북한을 ‘같은 민족’이라는 동질감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우리의 안보를 위협하는 나라’로 보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인터넷신문 <데일리안>이 알앤서치에 의뢰해 지난 19~20일 전국 20대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82.6%가 북한을 우리나라 안보를 가장 위협하는 나라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 다음은 6.6%가 미국, 3.5%가 일본을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북한체제에 대해서는 우리의 협력 대상이기 보다는 적대적 대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대중 42.4%가 북한을 우리의 안보를 위협하는 적대적 대상, 31.2%가 같은 민족으로서 힘을 합쳐야 하는 협력대상, 그리고 11.7%는 발전을 막는 경계 대상, 4.5%는 북한을 선의의 경쟁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북한의 위협에 대해서는 20대의 절반 이상인 50.6%가 북한의 끊임없는 위협 전략에 공포감보다는 오히려 짜증이 난다고 응답했고, 28.7%는 너무 익숙해져 전혀 공포감과 불안감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공포감을 느낀다는 응답은 16.2%에 불과했다.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p이다.

이에 대해 알앤서치 김미현 소장은 2일 PBC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 “북한의 위협, 특히 연평도 사태와 천안함 폭침은 20대로 하여금 자발적 안보 보수화 현상을 보이게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김 소장은 개성공단에 관해 “20대들은 원칙적인 면에서는 개성공단 사업이 지속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우세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북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20대의 50.5%는 장기적 관점에서는 개성공단 사업이 지속되어야 하나 현재로서는 북한의 태도변화가 없는 한 중단시키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29.2%는 절대로 중단해서는 안된다고 응답했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김 소장은 “20대의 신안보관은 개성공단 사업이 평화 공존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북한이 잘못한 점이 있다면, 마땅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생각 또한 강하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해석했다.

남북통일에 관해 김 소장은 “찬성 의견이 반대 의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남북통일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실제 통일이 하루빨리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은 13.7%인 반면, 통일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55.5%로 과반을 넘어섰다. 그리고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견도 26.2%로 비교적 높은 편이다.

김 소장은 “이런 20대의 안보관이 지난 18대 대선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18대 대선시 후보들의 안보 공약이 투표에 영향을 미쳤느냐는 질문에 ‘많이 미쳤다’는 의견은 4.9%, ‘영향을 미친 편’이라는 의견은 20.8%로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은 25.7%다. 그리고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의견은 32.5%로 조사됐다. 그러나 18대 대선때 박근혜 후보를 지지한 층에서는, 문재인 후보 지지층(3.6%) 보다 두배가 많은 8.9%가 안보공약이 투표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했다.

한편 최근 들어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이 상승곡선을 타고 있는 것에 대해 김 소장은 “취임 초 40%초반까지 떨어졌던 박대통령 지지율이 50%대를 돌파한 것으로 조사됐다”며 “남북관계 대치국면에서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국민 과반수 이상이 긍정평가를 보내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리얼미터’가 22~26일 전국 유권자 2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와 유선전화 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지난주 보다 2.3%p 상승한 49.9% 로 5주 연속 상승했다. 반면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36.2%에 그쳤다.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p다.

또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지난 28일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유무선전화방식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엇비슷하게 나타났다.

실제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51.6%인 반면 ‘국정운영을 잘 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29.1%에 불과했다.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김 소장은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지지율 차이도 20%이상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것”이라며 “이런 지지율 상승세가 안보정국에서 보수층이 결집한 것인지 아니면, 최근 민생행보의 결과인지는 좀 더 지켜보아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