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형유통업체 10곳 중 5곳의 상반기 매출이 지난해보다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대형마트, 백화점, 오픈마켓 등 국내 대형유통업체 62개사를 대상으로 ‘최근 유통기업 경영여건’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45.2%가 전년 동기 대비 상반기 매출액이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17.7%,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37.1%로 집계됐다.
상반기 매출이 전년보다 떨어질 것으로 전망한 이유로는 ‘소비위축’(89.3%·복수응답)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동업태간 경쟁심화(39.3%), 정부규제(32.1%), 이업태간 경쟁심화(21.4%), 신규출점 부진(14.3%) 등의 답변이 나왔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가격인하 상품 확대, 할인행사 기간 연장 등의 마케팅 강화로 고객 수는 다소 늘었으나, 1인당 소비량이 많지 않아 매출상승을 견인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응답기업의 59.7%는 최근 1년 새 경영환경이 나빠졌다고 보고 있고, ‘비슷하다’는 응답은 21.0%, ‘좋아졌다’는 응답은 19.4%로 조사됐다.
다만 일부 유통기업들은 하반기 매출에 대해 다소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인터넷쇼핑·TV홈쇼핑(52.6%), 대형마트·SSM(44.4%), 편의점(50.0%) 등은 하반기 매출이 전년보다 늘 것이라는 응답이 절반 수준이었다. 반면 백화점의 42.9%는 올 하반기 매출 감소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냈다.
올해 하반기 투자계획에 대해서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53.2%)이라는 응답이 과반을 차지했다.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기업은 27.4%, 줄이겠다는 응답은 19.3%로 나타났다.
유통기업들은 유통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경기부양(45.2%), 규제완화(40.3%), 신업태 활성화 지원(4.8%) 등을 꼽았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저성장 기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반기에는 소비시장이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규제강화보다는 경기부양에 우선을 둔 정책을 운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