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가 국정원 무력화 시키는 거냐”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3-07-26 16:42:1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홍문종 사무총장, ‘비공개’ 필요성 강조

[시민일보]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실종과 국정원 국정조사를 둘러싼 여야 간 대립이 갈수록 격화되고 있다.


26일 국정조사, 국정원 기관보고 공개 여부를 놓고도 여야간 합의를 이루지 못해 새누리당이 무기한 연기를 선언한 상태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홍문종 사무총장은 이날 TBS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국정원은 그 비밀을 보장해줘야 된다"며 "(국정원 직원들은)얼굴이 나온다든지, 신원이 파악된다든지, TV에 나온다든지 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못하게 하고 있는 게 외국의 사례”라고 ‘비공개’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총장은 특히 “우리가 국정원을 조사하고, 국정원 이야기를 듣는 것은 좋지만 언론을 통해 그분들의 얼굴, 신원 등이 공개되는 것은 국정원 본연의 임무수행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민주당에서 ‘국정원 기관보고를 비공개로 하는 것은 국민에 대한 알권리 침해'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일견 일리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어느 나라도 국정원 보고를 그렇게 공개적으로 하지 않는다”며 “특히 남북이 대치된 상황에서 국정원이 일을 하는데 지장이 있을 거라고 걱정을 많이 했었는데 결국은 현실로 다가온 거 아닌가 싶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홍총장은 민주당 등 야당이 새누리당 특위 위원들의 참석여부와 관계없이 국정원 기관보고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에 대해 “국정조사는 국정원을 무력화시키거나 국정원장을 몰아붙이자는 게 아니라 국정원이 그동안 했던 일들에 대해서 잘잘못을 따지자는 것”이라며 “정치쇼를 하려는 저의를 갖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정보기관에 대한 조사공개는 말이 안 되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또 민주당 박범계 의원의 일명 ‘권영세 녹취록’ 공개와 관련, 홍총장은 “불법 취득한 장물과 같은 것인데 장물로 자료를 삼는다는 것은 진실을 덮으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또 사적 대화를 몰래 녹음한 것이어서 그 전후사정을 알 수 없는 것이고, 또 녹음한 사람이 자료 사용을 허용하지도 않았던 것 같다”며 “아무래도 정치공세를 위해 조작하거나 짜깁기 한 측면이 있는 거 같아서 걱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박범계 의원의 취득 경위와 이걸 공개할 수 있는 상황이었는지, 또 실제로 조작이나 왜곡이 되었는지, 이런 것들에 대해서 저희가 적극적으로 박범계 의원에게 질문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홍 총장은 ‘국정원의 불법행위를 밝히겠다는 건데 왜 비공개 사항에 해당이 되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대선 때 제가 캠프 조직총괄본부장으로 선거의 핵심 중에 핵심이었다. 국정원이 선거에 개입한 적이 없고, 저희가 국정원을 이용한 적이 없다”며 “국조에서도 여직원을 감금하는 등 되레 민주당이 국정원을 선거에 이용하려고 했던 여러 가지 정황들이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그는 “우리가 비공개를 주장하는 것은 떳떳하지 못하거나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정보위원회는 아무리 국민적인 현안이 있어도 언제나 비공개다. 잘못하면 정보기관 자체가 무력화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홍 총장은 특히 새누리당이 대화록 실종사태와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인사 전원을 검찰 고발한 것에 대해 “요즘 국민들이 대체로 이 문제에 대해서 굉장히 짜증을 내고 있다"며 "이 문제는 검찰이 빨리 조사를 해서 명명백백하게 시비를 가려 끝내고 이제 민생을 살리는 일에 앞장서자, 는 의미로 해석하시면 된다. 또 민주당 김한길 대표도 빨리 검찰을 통해서 이 일을 결정했으면 좋겠다는 말씀을 하셨기 때문에 저희가 빨리 실행에 옮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혹시 민주당에서 특검을 주장하니까 아예 검찰에 넘기신 건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특검이 이 문제를 더 잘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대한민국에 검찰이 있다"며 " 지금 어느 때보다도 성역 없이 수사하고, 또 중립적인 위치에서 조사하는 검찰이기 때문에 저희는 검찰을 신뢰하고 검찰에 의뢰를 한 것”이라고 답변했다.


또 사초 실종과 관련, 새누리당 일각에서 ‘문재인 책임론’을 주장하는 것에 대해 “문의원은 남북정상회담 당시 준비위원장을 하셨다. 또 노무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실장 아니었느냐, 그리고 문서작성은 물론 보관하고, 정권 이양기에 이관을 주도한 책임자다. 그래서 누구보다 이 사실을 잘 알고 있고, 민주당에서도 문재인 의원이 책임이 져야 된다는 이야기를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문 의원이 동인천역에서 유세할 때, ‘작년에 제가 그 회의록을 최종적으로 간수도 했고, 또 정부보존 기록에 넘겨두고 나온 사람’이라고 공언을 하셨다. 그런 저런 문제들이 앞뒤가 잘 맞지 않기 때문에 문재인 의원의 책임론을 주장하고 있는 거 같다”고 덧붙였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