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安 신당, '연대냐 경쟁이냐' ··· 물밑주도권 싸움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3-11-12 13:50:0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범야권 연석회의 동참했지만 ··· 安 "협력이지 연대 아냐"


내년 지방선거 정면 대결 불가피 ··· 한시적 연대 그칠 듯


[시민일보] 이른바 ‘안철수 신당’ 창당을 서두르고 있는 무소속 안철수 의원과 제1야당인 민주당이 주도권을 놓고 미묘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일단 12일 열린 ‘국가기관의 선거개입 진상규명과 민주헌정질서 회복을 위한 각계 연석회의’(범야권 연석회의)에 민주당과 안 의원이 함께 동참해 이른바 ‘신야권연대’를 이루었다.



하지만 민주당이 특검 도입과 새해 예산안 연계처리를 시사하자 안 의원은 즉각 성명을 통해 “반대한다”고 선을 긋고 나섰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 역시 안 의원에 대해 '경쟁적 동지관계'라고 정의하는 등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검법 고리로 연대= 국가기관의 대선 개입 행위에 대한 특별검사제 도입을 계기로 이른바 '신야권연대'가 공식 출범하면서 민주당과 안 의원은 정의당 및 재야인사들과 함께 한 자리에 모였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정의당 천호선 대표, 안철수 의원은 이날 오전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국정원과 군 등 국가기관의 선거개입 진상규명과 민주헌정질서 회복을 위한 각계 연석회의' 출범식에 참석해 신 야권연대 결성을 알렸다.



야권 정치인들 외에도 시민사회 인사 8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출범식에서 발표한 '국민에게 드리는 글'을 통해 "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와 함께 "국가기관 선거개입 전모의 은폐·축소, 증거인멸, 수사 방해 등 외압 행위 일체의 진상규명을 위해 특검을 즉각 실시할 것"을 촉구했다.



또 이들은 "정부는 검찰 수사에 대한 방해와 외압 등을 즉각 중단하고 진상 규명에 책임을 다해야 한다"며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남재준 국정원장, 황교안 법무부 장관을 즉각 해임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이어 "국정원법 전면 개혁 및 국가기관의 정치 개입을 막기 위한 개혁입법을 단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들은 "지난 대선은 국가기관이 대거 동원된 관권선거이며, 이러한 선거개입은 민주주의 기본질서를 무너뜨린 헌정질서 훼손 사태"라며 "국정원 댓글 사건과 서울경찰청의 수사 축소·은폐 시도가 불법 대선개입의 1단계라면, 국정원이 공공연히 수사를 방해하고, 정권 차원에서 검찰총장을 찍어내고, 특별수사팀장을 경질하는 등 수사에 외압을 행사하고 있는 지금은 불법 대선개입의 2단계"라고 비판했다.



이어 "향후 각계각층, 각 지역으로 시국선언 운동을 확산해 나갈 것이며 '온라인 민주주의 광장'을 개설해 1인 시국선언운동, 특검법 도입을 위한 서명운동, 김기춘·남재준·황교안 퇴진을 위한 서명운동 등을 벌여나가겠다"고 활동 계획을 밝혔다.



이들 모임은 앞서 지난해 12월 6일 출범한 '정권교체와 새정치를 위한 국민연대'와 사실상 맥을 같이하고 있다.



정치권에서 민주당·정의당·안철수 측이 참여했고, 재야인사들 역시 당시 국민연대에 동참했던 인사들이 대부분이다. 단지 통합진보당만 빠졌을 뿐이다.



◇지방선거 경쟁 불가피= 하지만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의 연대가 내년 지방선거 때까지 이어질지는 의문이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양당이 서로 ‘제 1야당’이 되기 위해 사활을 건 경쟁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실제 야권을 한데 모은 '각계 연석회의'가 신야권연대의 초석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안철수 의원은 전날 일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달 4일) 국가기관의 대선 개입 의혹 사건과 관련해 특별검사제 도입을 제안했는데 이 사안에 도움을 줄 사람들에게 (다시 특검을) 설명할 수 있는 자리이기 때문에 연석회의에 참석하는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사안별 협력'이지 연대가 아니다. 연석회의에는 참석하지만, 한 번만이다"라고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민주당 내 친노 세력도 안 의원에게 우호적이지 않다. 작년 대선 후보 단일화 과정에서의 앙금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특히 안철수 신당이 창당될 경우 내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친노 세력과 전면전이 불가피하다는 점도 연대 가능성 보다는 경쟁 가능성에 무게를 더하고 있다.



실제 신당이 독자 후보를 내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안희정 충남지사, 최문순 강원지사 등 친노 세력과 맞붙어야만 한다.



이영란 기자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