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그 지지율은 10%대 안팎으로 초라하기 그지없다. 아직 창당도 안 된 이른바 ‘안철수신당’ 지지율의 반 토막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실제 민주당 지지율은 지난 1일 발표한 SBS 조사에서 8.9%(신뢰수준 95%, 허용오차 ±3.1%P, 응답률14.7%), 서울신문 조사에서 9.4%(신뢰수준 95%, 허용오차 ±3.09%P, 응답률 18%)를 각각 기록했다. 반면 안철수 신당은 26~27% 지지를 받았다.
대체 127명의 현역 의원을 거느리고 있는 민주당이 현역 의원 수가 겨우 2명에 불과한 신당에 밀리는 이유가 무엇일까?
물론 거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민주당의 잘못된 선택에 있다.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해법을 놓고 당 지도부는 민생 이슈를 적극 제기해 수권 능력을 보여야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민주당은 아직까지도 그런 모습을 국민들에게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친노진영이 진보적인 당 정체성을 좀 더 명확히 해 지지층을 단결시켜야한다며 강경한 목소리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정말 친노 측의 주장처럼 민주당이 ‘진보’ 쪽을 강화해야 하는가.
그건 아니다.
8일 보건사회연구원의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년 사이 우리 사회에서 "나는 진보적 성향"이라고 자처하는 시민의 비중이 상당히 줄어들었다.
2010년(5차)과 2013년 상반기(8차) 복지인식 부가조사에 모두 참여한 복지패널 597명의 정치 성향 변화를 분석한 결과다.
그런데 자신을 '진보'로 자리매김한 비율이 약 3년 반만에 28.94%에서 24.10%로 5%포인트 가까이 떨어졌다. 반면 같은 기간 중도 층은 34.05%에서 38.22%로, 보수층은 30.46%에서 34.75%로 각각 증가했다.
즉 진보성향의 유권자들이 감소한 반면, 중도와 보수 성향의 유권자들이 증가했다는 뜻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국민의 뜻이 결코 ‘진보’에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결국 지나친 ‘진보’는 국민의 뜻에 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도 민주당은 자꾸 진보 쪽만 쳐다보고 있다.
철도노조의 불법파업 당시에도 민주당은 파업을 지지하는 모양새를 취했다.
하지만 당시 국민들 10명 가운데 6명 이상이 철도노조 파업에 대해 공감하지 않는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었다.
실제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철도노조 파업에 대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60.6%로 압도적이었다. 반면 ‘공감한다’는 답변은 38.8%에 불과했다.
이 여론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는 ±3.1%p다.
그런데 민주당은 철도노조 불법파업 주동자들을 당사에서 보호해 주는 등 그들을 적극 지지했다.
그 결과 민주당 지지율은 하락한 반면, 그들과 일정하게 거리를 둔 안철수신당 지지율은 상승했다.
실제 중앙일보 여론조사 결과 민주당은 12.1%에서 9.9%로 하락한 반면 ‘안철수 신당’을 지지하겠다는 응답은 22.8%에서 23.6%로 올랐다.
이에 대해 여론조사기관 R&R의 배종찬 본부장은 “민주당이 대선 댓글과 같은 과거 이슈에 대한 투쟁에만 집착하다 보니 ‘새 정치’를 내세운 안철수 신당에 미래 이슈를 선점당했다”고 지적했다.
맞는 말이다. 민주당 지도부가 지금처럼 계속해서 친노진영의 강경한 목소리에 끌려 다니다가는 지지율 10%대의 늪에서 결코 빠져 나올 수 없다.
사실 안철수신당이 민주당 보다 무엇을 잘해서 높은 지지를 받는 게 아니다. 민주당이 민생을 챙기는 수권정당의 면모를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에 실망해 지지자들이 잠시 신당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민주당이 제대로 방향을 잡기만 하면 등을 돌렸던 지지자들이 다시 돌아올 수도 있다. 그 올바른 방향은 ‘진보 강화’가 아니라 ‘중도로의 전환’이다.
민주당이 6.4 지방선거에서 야권 맏형 자리를 신당에 내어주지 않으려면 당내 친노 강경파들의 목소리를 일축하고, ‘민생을 챙기라’는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