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새누리당 홍문종 사무총장이 24일 남북실향민 묘지조성을 제안하면서 이는 ‘통일대박’의 기초자원이라고 강조했다.
홍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고인이 되는 실향민 1세대가 늘고 있는데 '살아서 못 가본 고향 죽어서라도 묻히고 싶다'는 실향민들의 사연이 답지하고 있다"면서 "남북에 실향민 묘지를 조성하고 정기적인 성묘왕래 합의를 이뤄내면 이산가족 상봉에 못지않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지금 금강산에서는 23일에 이어 24일 2차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전날 60여 년 만에 재회했던 북측 상봉 대상자 88명과 남측 가족 357명은 24일 당초보다 약간 늦어진 오전 9시 25부터 2시간에 걸쳐 금강산 호텔 숙소에서 개별상봉을 이어가며 오붓한 시간을 보냈다.
남측 가족들은 초코파이와 오리털 잠바 등 북측 가족들을 위한 선물을 준비해 살가운 마음을 전했고 북측 가족들은 백두산 들쭉술 등으로 화답했다.
이날 경기도 수원이 고향인 북쪽의 80고령인 박재선 할아버지는 남쪽의 동생 재희씨에게 “아까 흘린 내 눈물이 부모님 묘소에 떨어져 금잔디가 나게 해 달라고 빌었다”며 “부모님 앞에 가서 아들이 영광 넘친 삶을 살며 장수하고 있다고 전해 달라”고 말했다.
살아 있는 사람들은 이렇게 상봉이라도 할 수 있지만, 이미 돌아가신 분들은 이제 살아생전에 만날 수 없다. 그들의 간절한 바람은 묘소에라도 찾아가 고인을 기리는 것일 게다.
홍 사무총장의 제안에는 바로 그런 사람들의 소망이 담겨 있는 것이다.
이는 물론 이산가족들에게도 매우 반가운 제안이지만, 통일의 기반을 조성하는 데에도 상당한 기여를 할 것이란 점에서 쌍수를 들고 환영하는 바다.
특히 비용면에서도 이는 매우 효과적이다. 어쩌면 남북관계에 있어서 ‘개성공단’보다 더 좋은 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
사실 새 정부 출범 이후 지난 1년 동안 박근혜 대통령이 비교적 후한 평가를 받는 분야는 바로 대북(對北)정책이다. 박 대통령이 올해 초 신년 기자회견에서 “통일은 대박”이라며 적극적인 대북정책에 나선 것도 자신감의 표현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대선 과정에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천명했던 박 대통령은 취임 이전부터 큰 시련을 맞았다. 북한이 3차 핵실험을 강행한 데 이어 정전협정 및 남북 불가침 합의 파기 등 한반도 안보 위기상황이 계속 악화됐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5월 북한이 남북 협력의 상징인 개성공단 가동을 중단시켜 남북관계가 최악의 상태로 치닫기도 했었다.
이 때 박 대통령은 북한의 조치가 발표되자마자 “우리 측 잔류 인원을 모두 철수시키고 공단 진출 기업들에 대한 경협보험금 지급을 검토하라”고 통일부에 지시했다. 북한이 약속을 지키지 않았으니 개성공단 완전 폐쇄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예상치 않은 우리 정부의 강경 대응이 펼쳐지자 북한은 이내 호전적 태도를 누그러뜨리고 먼저 개성공단 재개 협상을 하자고 대화 테이블로 나왔다.
결국 개성공단의 문은 북한의 폐쇄조치 이전보다 훨씬 더 활짝 열렸다. 공단을 국제화하자는 우리 측 요구를 북한이 수용한 것이다.
비록 박 대통령의 원칙적인 대북정책이 성과를 얻었지만, 그만큼 진통도 컸다.
하지만 남북 실향민묘지가 조성되고 남북 가족들이 명절 때마다 그 묘지를 찾아갈 수만 있다면, 인도적인 면에서는 물론 남북관계 개선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개성공단처럼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그 못지않은 효과를 얻을 것이란 뜻이다.
그래서 홍 총장이 남북실향민 묘지조성은 ‘통일대박’이라고 언급한 것이다.
홍 총장은 제안은 막연한 것이 라니라 구체적인 실천 방안도 담겨 있다.
실제 그는 정부와 개인이 일정 비용을 부담해 북한과 남한 지역에 묘지를 조성하고 설과 추석 명절 때 연 2회 성묘왕래를 정례화하는 방안과 북한의 선택에 따라 중국을 경유하는 것이나 판문점 육로를 이용하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따라서 정부당국은 홍 총장의 이 같은 제안을 면밀히 검토하고,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해 북측과 협의해 나가야 한다는 생각이다.
특히 야당도 홍 총장의 인도적 제안에 대해서는 정치적 성향을 떠나 모두가 합심해서 협력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