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신당 ‘새민련’ 출범에 즈음하여

고하승 / / 기사승인 : 2014-03-27 14:53:4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새정연)의 통합 신당인 새정치민주연합(새민련)이 드디어 출범했다.

새민련 지도부의 첫 일성은 '민생'이었다. 김한길·안철수 공동 대표를 포함한 최고위원들은 27일 열린 첫 최고위원회의에서 일관되게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새민련의 1호법안으로 이른바 '세모녀법'을 발의한 것은 바로 민생을 말이 아닌 실천으로 보여주겠다는 의지의 표현일 것이다.

실제 안철수 공동대표는 '1호 법안'을 언급하면서 "이는 민생정치를 강력하게 실천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라고 강조했다.

김한길 공동대표는 "새정치란 국민 위에 군림하는 정치가 아니라 국민께 배우고 국민을 섬기는 정치"라며 "국민이 먹고사는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는 정치가 새정치"라고 말했다.

이는 매우 바람직한 일로 새민련의 창당을 환영하는 바다.

그동안 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야당은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협조하기보다는 사사건건 발목 잡는 모습을 보여 왔던 게 사실이다.

국민들의 ‘제발 좀 그만 싸우고 경제를 살펴봐 달라’는 간절한 요구를 묵살하고, 오로지 정쟁에만 함몰됐었다는 말이다.

지난해 연말에는 민주당의 장외투쟁으로 헌법이 정한 예산안 처리 시한을 넘기기도 했다.

당시 한 시민단체가 “예산안 심의가 민주당이 국회 일정을 보이콧하는 등 여야 정쟁 때문에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예산안 심사는 정당들이 협상의 지렛대로 사용할 대상이 아니다”고 비판했지만, 민주당은 귀담아 들으려하지 않았다.

예산안 심사는 국회의 권한이자 의무임에도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사실상 ‘대선불복’과 다름없는 장외투쟁을 하느라 이를 외면하고 말았다.

그 결과 민주당 지지율은 폭락했고, 그것이 안철수 의원의 독자세력인 ‘새정치연합’ 탄생의 결정적 계기가 된 것이다.

이후 우여곡절 끝에 민주당과 새정연이 통합을 한만큼 야당은 과거와 같은 구태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사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신당창당 선언 후 정당 지지율에서 상승세를 타왔으나 최근 정체조짐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창당 선언 직후 30% 후반대를 찍었던 신당 지지율은 20%대로 추락하고 말았다.

이대로 간다면 새민련의 미래는 담보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제 막 출범한 새민의 미래는 지금부터 얼마나 변화와 혁신을 통해서 당의 체제를 바꾸느냐에 따라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만약 과거의 통합처럼 몸집을 불리고 자기 식구 챙기기나 당파적 이익을 위해 정쟁을 벌인다면, 새민련은 그날로 끝장이다.

계속해서 변화하고 혁신해서 국민들이 원하는 민생정당, 정책정당으로 거듭나면 지지율이 올라갈 것이고 만약 그렇지 않고 정쟁에 함몰된다면 통합에 따른 호의적인 시선은 금방 싸늘한 시선으로 바뀌고 말 것이다.

따라서 새민련은 무엇보다도 먼저 국회 상임위에 발이 묶여 있는 핵터러방지를 위한 원자력방호방재법과 북한인권법 등 안보관련 법안 처리에 협조할 필요가 있다.

새민련이 이념적 좌표인 정강·정책에 보수 색채의 가치를 '새정치의 시대적가치'로 선언하고 '안보'를 중시하는 수권정당임을 강조한 만큼, 진정성만 있다면 당장이라도 가능한 일 아니겠는가.

새민련이 전날 창당대회에서 천안함 폭침 4주기를 맞아 천안함 용사들을 위한 빈자리를 마련하는 등 우클릭 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 ‘이벤트’가 아니라 진정성 있는 모습이었다면, 4월 국회에서 안보관련 법안처리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는 말이다.

북한인권법은 전 세계가 동의하고 있음에도 정작 우리는 야당의 반대로 못하고 있다는 게 어디 말이나 될법한 일인가.

새민련이 기존 민주당과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는 4월 국회에서 북한인권법의 본회의 의결처리에 새 야당이 동의하느냐에 달려있는지도 모른다.

우리 국민은 또 하나의 그렇고 그런 새 야당, 즉 ‘도로민주당’이 아니라 전혀 다른 야당의 탄생을 기대하고 있다.

부디 새민련이 그런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정당이 되어 주기를 바란다. 아울러 새민련의 화려한 출범을 다시 한 번 환영하는 바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