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盧, ‘공천 폐지’ 입법요구 농성 이유는?

고하승 / / 기사승인 : 2014-04-01 12:58:1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새정치민주연합 내 친노(親盧, 친 노무현)계 의원들이 주축을 이룬 '정치교체·정당재구성을 위한 혁신모임' 소속 10여명이 1일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입법을 요구하며 국회 내에서 농성을 시작했다.

이날 농성에 참여한 의원은 노영민 강기정·박수현·오영식·윤관석·윤호중·이목희·이원욱·전해철·조정식·최재성·홍의락 의원 등으로 대부분이 친노계다.

특히 노영민 윤호중 전해철 의원 등은 친노계 중에서도 문재인 의원계파로 분류되고 있다.

이들은 이날 오전 9시30분부터 국회 본회의장 앞 로텐더홀에서 '기초공천 폐지 입법 관철을 위한 농성'에 들어가기 전 기자회견을 열고 "공천이냐, 무공천이냐를 둘러싼 논쟁을 당장 중지하고 '기초공천제 폐지'에 우리 모두의 명운을 걸어야 한다"며 "6·4 지방선거 '기초공천 폐지' 입법 관철은 4월 국회 제1의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하나의 선거, 두 개의 룰이라는 정치실종 상황이다. 해법은 분명하다. 여야 대선후보가 함께 국민에게 약속한 기초공천제 폐지 약속을 지켜내고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제도 개선을 합의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이를 위해 사즉생의 각오로 임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노영민 의원 등은 4월 임시국회 최우선 과제로 기초공천 폐지가 이뤄져야 한다고 거듭 강조하면서 당 지도부의 강경투쟁을 촉구하기도 했다.

사실상 ‘공천폐지’ 문제는 이미 물 건너간 상황이다. 당 지도부가 제 아무리 강경한 투쟁을 벌인다고 해도 돌이킬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런데도 왜 이들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공천폐지 입법을 이토록 무리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일까?

아무래도 6.4 지방선거 이후 불거질 당권경쟁을 의식한 때문인 것 같다.

지금의 새정치민주연합은 얼핏 보기에 안철수, 김한길 두 공동대표에 의해 장악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지금은 배제된 것처럼 보이는 친노계 의원들의 수가 압도적이다. 이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면, 안철수 공동대표도 버텨내기 힘들 것이다.

그들이 목소리를 내는 시점은 바로 6.4 지방선거 직후가 될 것이다.

실제 안철수, 김한길 공동대표의 기초선거 무공천 결정으로 지방선거에서 패배할 경우, 그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봇물을 이룰 것은 불 보듯 빤하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새정치연합이 지방선거에서 참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실제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새정치연합의 지지율은 ‘도로민주당’ 수준으로 떨어졌다.

<리얼미터> 주간 정례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당 지지율은 새누리당이 전 주보다 소폭 상승해 50.2%를 기록하며 50%대 고지에 올랐지만, 새정치연합은 1.5%p 하락한 33.3%로 양당 격차가 16.9%p 벌어졌다. 통합진보당 2.5%, 정의당 0.8%, 무당파 12.5%이다.

또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투표에서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하겠냐’고 물은 결과 역시, 새누리당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이 48.7%, 새정치연합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은 33.7%이다.

이 조사는 지난 24일부터 28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30%)와 유선전화(70%) 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p, 응답률은 6.0%였다.

이런 상황에서 친노계가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입법을 요구하는 국회 내 농성을 벌이는 것은 나중에 안철수,김한길 체제의 당 지도부에 책임을 묻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의 일환일 가능성이 높다.

즉 기초선거 공천폐지를 입법화하지 못한 상황에서 새정치연합만 일방적으로 무공천을 결정, 선거패배를 초래한 책임을 묻기 위한 포석이라는 뜻이다.

문재인 의원이 지방선거 선거대책위원장 직책을 맡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을 것이다.

실제 문 의원은 이날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선거대책위원장 직책을 맡느냐’는 질문에 "직책이 없어도 제가 최선을 다해서 열심히 선거를 돕겠다"며 "그런 중요한 직책을 맡는 게 아직은 조금 이르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갖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어 그는 "지난번 안철수 의원 만났을 때도 그런 얘기를 주고받은 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마디로 지방선거는 돕지만 나중에 당 지도부와 함께 선거패배의 공동책임을 질지도 모르는 선거대책위원장은 맡지 않겠다는 뜻이다.

이는 어쩌면 1년 임기인 안철수, 김한길 공동대표 체제가 지방선거 이후 곧바로 붕괴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