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난 새누리 조강특위 '親朴계 당협위원장 교체설' 솔솔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4-10-16 11:04:4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홍문종 "김무성 주장한 오픈프라이머리 정신에 어긋나"
김태흠 "모임 앞에서 계속 유지될 것··· 親朴 살아 있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당 깃발이나 이름까지도 바꿀 수 있는 게 당 대표인데 당협위원장 치는 게 뭔 대수냐, 박근혜 대표 시절에도 다 바꿨다, 억울하면 당권 가져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나 이군현 사무총장 등은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 활동에 대해 ‘친박 밀어내기’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지만, 김 대표 주변부를 타고 공공연하게 흘러나오는 발언이다.

이런 상황에서 친이계 출신의 이 사무총장이 15일 전국 97곳의 원외당협위원장 지역을 대상으로 한 당무감사 결과를 보고받고 당협위원장 선정 작업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지면서 친박계와 비박 지도부 사이에 전

운이 감도는 분위기다.

친박계는 당 지도부가 당무감사를 빌미로 조강특위를 통해 자파 당협위원장들을 대거 발탁하려는 의도가 아닌지 의구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위원장 임명ㆍ교체 대상이 될 수 있는 지역이 전체 246개 당협의 44%인 109개까지 늘어난 가운데 친박계 원외 인사들이 장악하고 있는 수도권 당협 위원장이 주요 교체 대상이 될 것이라는 소문이 번지면서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당협위원장들의 자진사퇴가 이어지고 있다.

16일 현재 허준영(서울 노원병) 전 경찰청장과 박식순(경기 시흥을) 위원장을 비롯 지난 4월 임명된 이만우(서울 성북갑)·최봉홍(서울 강북을)·이운룡(서울 마포갑) 위원장 등이 자진사퇴하면서 공석이 될 지역은 20

곳이 넘을 전망이다.

이들 공석 지역의 당협위원장을 정할 조강특위 위원 6명 중 친박계 인사는 함진규 의원이 유일하다.

친박계 핵심인 홍문종 전 사무총장은 “당협위원장 임명이 곧 공천이라는 생각으로 사람을 심으려는 건 김무성 대표가 주장한 상향식 공천(오픈프라이머리) 정신에 어긋난다”며 “인위적으로 당협위원장을 끌어내

리려 한다면 큰 저항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친박계 김태흠 의원도 “줏대없이 여기 갔다, 저기 갔다 하는 의원들도 있지만 친박 모임은 앞으로 계속 유지될 것”이라며 “친박은 살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