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판결, "아파트 무너질 우려 없어도 시공사 하자보수 의무 있다"

민장홍 기자 / mjh@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4-11-21 17:07:1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시민일보=민장홍 기자]건물이 무너질 우려가 없더라도 하자보수 책임 기간을 줄이면 안된다는 대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1부는 경기 포천 소재 A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가 "하자보수 비용을 달라"며 아파트 시공업체와 하자보수보증계약을 맺은 대한주택보증 주식회사를 상대로 낸 하자보수보증금 등 청구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 판결한 원심을 깨고 원고 승소 취지로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환송했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재판부는 "내력구조부별 하자담보책임기간 등을 정하고 있는 주택법령은 내력구조부에 발생한 중대한 하자에 대해 가중책임을 지게 하려는 취지"라며 "아파트가 무너지거나 무너질 우려가 있는 중대한 하자에 대해서만 보수책임을 지게 하는 것으로 제한하려는 취지는 아니라고 보인다"고 판단했다.

이어 재판부는 "그런데도 하자보수책임기간이 5년(보·바닥·지붕) 또는 10년(기둥·내력벽)인 하자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아파트가 무너지거나 무너질 우려가 있어야 한다고 전제한 원심은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고 판시했다.

앞서 시공사의 부실시공으로 균열과 누수가 발생한 A아파트의 입주자들은 2010년 10월 시공사와 대한주택보증 주식회사에 하자보수를 요청했으나 보수가 이뤄지지 않자 소를 제기했다.

이에 1심은 "붕괴 우려가 있어야 하자보수의무가 인정된다면 건물이 붕괴될 때까지 보수의무를 인정하지 않은 채 방치하는 결과가 된다"며 원고 승소 판결했다.

그러나 2심은 "아파트가 무너질 우려가 있어야 해당 하자보수 책임 기간을 인정할 수 있다"며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