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는 2015년 서울 이랜드FC의 창단으로 챌린지(2부 리그) 팀이 기존 10개에서 11개로 확대 운영되고, 신인 드래프트제가 폐지되는 대신 전면 자유선발제가 시행되는 등 많은 변화를 앞두고 있다.
▲서울 이랜드 FC 창단…서울 연고 2구단 시대 '활짝'
본격 출범을 준비중인 서울 이랜드 FC가 내년부터 K리그 챌린지에 참가하면서 기존 클래식(1부 리그)의 FC서울과 함께 서울을 연고로 하는 팀이 2개로 늘었다.
아울러 K리그 챌린지는 기존 10개에서 11구단으로 늘어 새 시즌에 다양한 이야기를 준비 중이다. 내년 챌린지 정규 라운드는 팀당 36경기에서 40경기로 늘어나고, 홀수팀 운영으로 매 라운드 1팀씩 번갈아가면서 휴식을 취한다.
올해 K리그 클래식을 누볐던 2개 팀은 내년부터는 챌린지에서 경쟁을 펼치게 됐다.
클래식 최하위인 12위에 머물렀던 상주상무는 챌린지로 자동 강등됐고, 11위 경남FC는 챌린지 팀이던 광주FC와의 승강플레이오프에서 패해 강등이 확정됐다.
반면 챌린지 1위 대전시티즌이 클래식으로 자동 승격됐고, 4위 광주는 플레이오프를 거쳐 클래식에 합류했다.
▲AFC챔피언스리그 출전권 4장 → 3.5장
아시아축구연맹(AFC)은 각 리그별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팀 수를 조정했다. 기존 4장의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직행 티켓을 가졌던 한국은 3.5장으로 그 수가 줄었다.
K리그 클래식 1~2위 팀과 FA컵 우승 팀이 조별리그에 직행하고,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거쳐 1팀이 조별리그에 진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북현대가 2014년 K리그 클래식 정규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성남FC는 FA컵 우승팀 자격으로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에 직행한다. 정규리그 2위를 차지한 수원삼성도 조별리그에 직행하게 됐다.
정규리그 3위를 차지한 FC서울은 플레이오프 1경기를 통해 조별리그 진출을 가늠한다.
▲신인선수 드래프트제 폐지 → 완전 자유선발제 시행
2016년부터는 기존 2006년부터 시행돼 오던 드래프트제가 폐지되고 완전 자유선발제 형태로 신인들의 선발이 이뤄지게 된다. 축구연맹은 미지명된 유소년 선수의 진학 및 진로 모색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매년 11월에 실시하던 우선지명권 행사 시점을 내년부터 9월로 앞당겼다.
▲선수 에이전트제도 폐지 → 중개인 제도 도입
2015년 4월1일부터 선수 중개인 제도가 시행된다. 기존의 선수 에이전트 제도는 2014년 6월 국제축구연맹(FIFA) 총회의 결정에 따라 폐지된다. 따라서 프로축구연맹과 대한축구협회는 중개인 자격기준, 관련규정 등 운영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선수 등록시 서류등록 → 전산등록 및 등록비 납부
팀과 선수 등록시 서류로 등록하던 기존 방식이 전산등록(JoinKFA)으로 대체된다. 등록시에는 협회에 팀 20만원, 선수당 1만원의 등록비를 새롭게 납부해야 한다.
▲23세 이하 2명 엔트리 의무 포함+1명 의무 선발출전, 구단별 선수 로스터 제도
2013년부터 시행돼 오던 만 23세(챌린지 만 22세) 이하 선수의 경기 출전 엔트리 의무 포함 제도도 바뀐다. 2015년부터는 K리그 각 구단은 엔트리 2명 의무 등록에 의무적으로 1명을 선발 출전시켜야 한다.
2013년에는 엔트리 의무 등록 1명, 올해에는 엔트리 의무 등록이 2명으로 늘었고, 2015년부터는 엔트리 의무 등록 2명에 추가적으로 의무 선발 출전 1명으로 확대 시행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