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권 없는 김상곤 혁신위, 성과 낼 수 있을까?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06-09 15:24:3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기초단체장-원외-당직자 추천 잇따르지만 현역의원들은 냉담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혁신호가 좀처럼 탄력을 받지 못하는 분위기다.

출범 당시 문재인 당 대표 등 지도부가 혁신위원회에 ‘전권(全權)’을 부여할 것이라고 했으나, 실제로는 혁신위안에 대해 강제할 수단조차 없어 ‘무늬만 전권’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혁신위 구성과 관련해서도 기초자치단체장과 원외위원장, 당직자측 추천이 잇따르고 있지만 현역 국회의원들은 냉담한 반응이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9일 “혁신위 인선과 관련, 당내 4명, 외부 6명 등 위원장 포함 총 11명으로 구성하되, 당 내부인사는 국회의원ㆍ기초자치단체장ㆍ원외 지역위원장ㆍ당직자 각 1명으로 인선하겠다며 각 그룹별로 후보자 추천 요청을 해 놓은 상태”라며 “이에 따라 기초단체장협의회는 박우섭(인천 남구)·홍미영(인천 부평)· 김수영 (서울 양천) 구청장을, 원외지역위원장협의회는 고연호(서울 은평을)·강래구(대전 동구)·최인호(부산 사하갑) 지역위원장을 각각 추천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직자들도 사무처당직자혁신위원 추천위를 구성하고 당무혁신실 소속인 홍욱표 부장과 이주환 차장 등 실무진급 인사 2명을 추천했으나 정작 국회의원 몫 위원은 특별히 거론되는 인사가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분위기는 혁신위원으로 참여하는 국회의원의 경우 2016년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김상곤 위원장 사례를 요구받을 수 있다는 부담 때문으로 해석된다.

더구나 혁신안을 만들어 놓더라도 당 지도부가 거부할 경우 강제할 규정도 없다는 것도 혁신위 의욕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김상곤 혁신위원장도 이같은 점을 시인했다.

김 위원장은 전날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오찬간담회를 갖고 "혁신위원장이 강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나 혁신위와 당원ㆍ국민과의 공감대가 아주 높은 수준에서 이뤄지면 그게 추진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것을 만들어내는 작업까지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 지도부가 혁신안을 거부하지 못하도록 국민과의 공감대를 이루는 작업까지 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아 보인다.

특히 김 위원장은 '혁신위가 공천 개혁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공천 문제 뿐 아니라 당원 관리 시스템, 가입 시스템 이런 것부터 개선돼야 한다"고 밝힌 것도 논란거리다.

그 방향이 문재인 대표가 추진하는 ‘네트워크 정당’과 일치할 경우, 비노계의 반발이 따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원혜영 의원이 위원장으로 있는 공천혁신추진단이 그동안 논의했던 공천혁신안 ‘베껴쓰기’가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김 위원장은 "공천혁신추진위원단에서 공천 개혁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데 혁신위가 시작되면서 잠시 스톱된 상태"라며 "거기서 논의된 것을 혁신위에서 받아서 최종안 만들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김상곤 혁신호에 좀처럼 힘이 실리지 않는 상황”이라며 “그러다보니 원혜영 공천혁신추진단이 논의했던 방향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