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 ‘오픈프라이머리’ 도입될까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07-19 12:57:3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정의화 “여야 동시해야 ‘역투표’없어지는데 어렵다” 野 혁신위, “현역 일방 유리...‘물갈이’쇄신과 배치”
與, 김무성 “당론채택”vs. 일각 “중앙당 개입우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취임 1주년을 맞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야당에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강하게 촉구했지만, 내년 총선에 적용되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19일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지방선거 때 해 본 상향식 공천을 보면 당원 위주로, 일반 국민의 참여도가 거의 없다. 또한 여야가 동시에 해야 '역투표' 현상이 없어지는데 여야가 동시에 하기 어렵다"며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정 의장은 이날 오전 MBC '이슈를 말한다'에 출연, "여야가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투명한 공천을 하는 방법이 강구된다면 꼭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하지 않아도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의장은 또한 "예비 후보들이 4년 내내, 또는 최소한 선거 전 2년은 자기 인지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줘야하는데 선거는 불과 9개월 남았다"며 "지금 논의를 하고 결정해서 몇 달 후 (실시)하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픈프라이머리 논의는 하되, 그렇게(내년 공천에 적용) 되기는 힘들 것"이고 거듭 강조했다.

야당이 제도의 취지에는 공감한다면서도 부작용을 들어 선뜻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는 것도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국회 정개특위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간사인 김태년 의원은 "자율 의사에 의한 투표율이 낮아 결국은 대규모 동원이 이뤄지고, 신진 인사에는 진입 장벽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면서 "정개특위에서도 강제로 법제화하려 한다면 위헌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새정치연합 혁신위 내부에서도 오픈프라이머리가 '혁신적'이지 않다는 반대의견이 다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오픈프라이머리는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준다는 취지이지만 인지도와 조직에서 앞서는 현역이 일방적으로 유리한 제도”라며 “선거 때마다 인적쇄신의 바로미터로 여겨지던 '현역 물갈이'가 오히려 어려워질 수 있어 혁신위의 인적쇄신과는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한편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미 당론으로 채택했다고 밝히고 있지만, 여당 내부에서도 의견일치를 본 것은 아니라는 관측이다.

실제 당내 일각에서 오픈 프라이머리라고 해도 후보자 선정 기준 과정에서 얼마든지 중앙당 개입이 가능하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