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 수도권 의석수 10곳 이상 ↑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07-23 16:59:0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서울 강남-강서구서 1개씩 늘고 종로-중구는 통합 가능성
획정위, 내달 11일 공청회


[시민일보=이영란 기자]내년 4월 총선거가 치러지는 20대 국회에서는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의원 수가 10곳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지역구별 최대·최소 인구 편차를 2대 1로 줄이라는 헌재 결정에 따라 59곳(3월 말 기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집계) 선거구가 영향을 받게 됐다.

실제로 지난 3월 31일 기준 전체 246개 선거구 가운데 상한 인구수 27만8377명을 초과하는 곳은 모두 35개소고 인구 하한선인 13만9189명에 미달하는 곳은 24개소다.

서울에서는 현재 2개 선거구로 구성된 강남구와 강서구의 경우, 각 1개 선거구가 늘어날 전망이며 인구가 부족한 중구의 경우는 종로구와 합쳐지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선거구가 가장 많이 늘어나는 지역은 경기도로 인구 상한선을 초과한 곳이 16곳에 달한다. 수원과 용인, 남양주의 경우 대부분 선거구가 인구 상한선을 넘어 최소한 각각 1개의 선거구 씩 늘려야 한다. 인천도 전체 12곳 선거구의 3분의 1인 4곳이 인구 상한선을 넘었다.

반면 새누리당 텃밭인 경북과 새정치민주연합 텃밭인 호남지역은 인구 하한선에 미치지 못하는 지역구가 많다.

경북은 하한선에 미달하는 곳이 영천, 상주, 문경·예천, 군위·의성·청송, 영주, 김천 등 6곳이며, 전북은 무주·진안·장수·임실이나 강원 철원·화천·양구·인제의 경우 4개 기초단체가 하나의 선거구를 이루고 있는데도 인구 하한선을 넘지 못하고 있다.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이하 획정위)는 헌법재판소가 판결한 인구기준 뿐 아니라 지역 대표성 확보 방안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획정위는 전날 2차 위원회의를 열어 다음달 11일 각계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하고, 이 자리에 농어촌 지역을 대표하는 전문가도 포함하기로 했다. 또 인구와 행정구역 변경 뿐 아니라 정당 의견도 청취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다음달 13일 선거구 획정에 대한 정당 의견을 듣는 위원회도 개최한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은 광주와 전남지역 선거구 19곳을 유지하거나 순천을 나눠 선거구 한곳이 더 늘어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선거구획정을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새정치연합 선거구획정 초안은 하나의 자치구가 단독 선거구를 구성할 수 있는 경우 그 선거구를 우선 인정하는 원칙부터 정했다.

또 초안에는 한개 자치구가 단독 선거구가 안 되면 인접된 다른 자치구와 합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을 뒀으며 자치구간 합칠 경우 자치구의 일부를 떼어낼 수 있는 방법도 선거구획정기준에 관한 예외조항으로 마련했다.

예외 조항이 적용되면 인구 하한선 기준인 13만8984명에 미달하는 광주 동구는 인접한 남구와 합쳐져 '동ㆍ남구' 갑과 을이 돼 광주지역 국회의원 정수 8석이 현행대로 유지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