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男53세, 女48세 퇴직
시민 1000명 조사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50~64세의 중ㆍ장년층 시민 중 현재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남성의 절반 이상인 53.1%, 여성의 31.6%가 퇴직 후에도 계속 일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 7월27일부터 8월21일까지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중ㆍ장년층 시민(50~64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서울시 50+세대 인생이모작 실태 및 욕구조사’를 실시하고, 16일 이같은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 남성의 82.8%, 여성의 34.3%가 경제활동 중이었으며, 남성의 53.1%, 여성의 31.6%가 향후 일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주된 일자리 평균은퇴 연령은 남성 53세, 여성 48세로 퇴직 후 남성의 85.3%, 여성의 37.7%가 재취업을 시도해 경제활동자 2명 중 1명(55.4%)이 평균 10개월 만에 제2일자리로 이동했다.
70세 이후 필요한 노후자금은 평균 3억3000만원이라고 답했으며, 평균 1억8800만원이 준비된 것으로 나타났다.
4명 중 3명(73.1%)는 노후자금이 충분치 않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노후 주 소득원천으로 국민연금 및 퇴직연금(33.2%)을 1순위로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의 삶에 만족한다’고 대답한 사람은 56.4%로 나타났고, 7개의 주요요인의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관게(71.2%), 가족(70.8%), 건강(67.8%), 여가활동(47.7%), 일ㆍ직업(41.3%), 소득ㆍ자산(38.9%), 사회참여(25.8%) 순인 것으로 조사됐다.
시 관계자는 “장년층을 위한 지원정책이 일자리ㆍ교육ㆍ여가활동 등 분야별, 기관별로 나눠 이뤄져 왔으나 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개인퇴직시기별 특성 및 가족생애주기를 고려한 종합적 지원기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이같은 욕구조사 결과를 50+센터 등의 운영에 반영하고 생애설계를 통한 ‘세분화ㆍ맞춤형’ 프로그램 및 삶의 여러 영역을 연계하는 종합적 프로그램을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