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노인들의 노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공익활동형 ▲시장형 ▲인력파견형 등 3개 분야의 노인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지난 2015년 4만4405명에서 5708명(12.8%) 늘어난 5만113명의 노인들에게 기회를 제공한다고 13일 밝혔다.
특히 올해는 노인의 추가 소득 창출이 가능한 시장형 및 인력파견형 일자리가 2015년 3850명에서 올해 1만762명으로 약 2.8배까지 대폭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우선 3만9351명의 노인이 참여하는 공익활동형 일자리를 살펴보면 노노케어(노인돌봄사업), 취약계층 지원, 공공시설 관리, 경륜전수 자원봉사 등 지역사회 공익증진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게 되며, 참여하는 노인들에게 월 20만원의 수당이 제공된다.
시장형(8369명) 일자리로는 지역사회환경개선, 초등학교 급식 도우미 등 전문 서비스형 사업과 시니어 택배, 카페, 쇼핑백제작 등 제조 판매형, 공동작업장 사업 등이 있으며 수익이 발생하는 사업단에참여시 추가 사업 소득을 노인들에게 공동분배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인력파견형(2393명) 일자리는 수요처의 요구에 따라 참여자를 수요처에 파견하고 수요처에서 인건비를 지급한다.
시는 서울에 적합한 시장형 틈새일자리 모델 개발을 위해 CJ대한통운 및 SH공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시니어클럽 등과 협력해 아파트택배 사업의 서울 전역 확대를 추진한다.
또 지역자활센터 및 (사회적)협동조합 등 일자리사업 추진경험이 있고 관련 인프라를 갖춘 신규 수행기관을 적극 발굴하고 노인 일자리 전담기관인 시니어클럽을 현재 7곳에서 연차별로 2곳씩 확충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노인 생산품의 인지도 제고를 위해 우수 사업단을 발굴, 홍보 및 마케팅 등 판로개척을 지원하고 공동작업형 및 제조판매형 등 사업의 공간 지원을 위한 민간자원 연계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평균수명 연장에 따라 어르신을 위한 일자리 및 사회활동기회의 확대는 ‘최고의 복지’라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어르신이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서울 환경에 적합한 특색 있고 다양한 일자리를 적극 개발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