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김종인 '烹' 수순 밟기?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6-04-26 10:34:3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문재인 외면...‘합의추대’ 물 건너가고 ‘전대연기론’도 동력상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의 갈등으로 고립무원 신세가 된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에 대해 사실상 '팽' 수순에 돌입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김 대표가 기대를 걸었던 '합의추대'에 대해 당내 여론이 부정적으로 흐르면서 이 같은 분위기가 가속화되는 분위기다.

김 대표가 문 전 대표를 향해 "그 사람(문 전 대표)은 작문이 무슨 버릇인 것 같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으나 기울어진 판을 뒤집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더민주 관계자는 26일 “문재인 전 대표가 합의 추대를 거부하자 친노계 일각에서는 대놓고 김 대표를 성토하는 목소리가 나오는가 하면 이젠 비노계까지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 22일 김종인 대표와 문재인 전 대표의 만찬 회동 이후 양측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는 양상이다.

문 전 대표는 회동이 끝난 다음 날 곧바로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김 대표에 대한 합의추대가 어렵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밝힌 뒤, 특히 김 대표가 당 대표를 맡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당대회에도 불출마하는 것이 낫다고 전했다.

이에 발끈한 김 대표는 전날 광주시의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문 전 대표와 단 둘이 만나는 일은 하지 않겠다"고 불편한 심기를 그대로 드러냈다.

특히 김 대표는 "사후에 말을 만들어서 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맞지 않다"면서 "일부 사람들이 말을 자꾸 이상한 형태로 만들어내는데 정상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다소 거칠게 반응했다.

그러나 당내 분위기는 사실상 문재인 전 대표 쪽으로 힘이 쏠리는 양상이다. 심지어 "비례 2번이면 충분히 보상을 받았다"는 목소리까지 나올 정도다.

김종인 대표 공격의 선두에 선 친노 정청래 의원은 총선 직후 자신의 사회관계망(SNS)에 "비리혐의로 돈 먹고 감옥간 사람은 과거사라도 당 대표 자격기준에서 원천배제해야 한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호남 완패와 관련, "비례대표 파동이 선거 막판에 결정적인 치명타를 날렸다. 그런 게 없었으면 호남에서의 참혹한 패배는 없었을 것"이라며 김종인 대표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심지어 김종인 대표의 비례파동 당시에는 김대중 대통령을 언급하며 '비례대표 공천장사를 했다'는 식으로까지 파상공세를 퍼붓기도 했다.

그런데도 당내에서 김종인 대표를 거드는 목소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실제 비교적 김 대표와 당내에서 가장 가깝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박영선 비대위원은 물론 김부겸 당선인 등 영향력 있는 비노계 인사들 대부분이 미온적인 반응으로 일관하는 모습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