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28일 발표한 2015년 12월 기준 장애인 의무고용사업체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국가·자치단체의 경우 장애인 공무원은 2만711명으로 고용률은 2.8%(전년대비 +0.15%p)를 기록했다.
또한 국가·자치단체에서 일하고 있는 비공무원인 장애인 근로자는 총 8001명으로 장애인 고용률은 4.05%(전년대비 +0.30%p)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의 경우 장애인 근로자는 1만934명이고 고용률은 2.93%(전년대비 +0.02%p)로 조사됐으며 민간기업의 경우 장애인 근로자는 12만5230명, 장애인 고용률은 2.51%(전년대비 +0.06%p)로 집계됐다.
특히 1000인 이상 기업의 장애인 고용률은 2.07%(전년대비 +0.04%p), 30대 기업집단 1.92%(전년대비 +0.02%p)로 여전히 대기업의 장애인 고용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장애인 근로자의 장애 유형별 현황을 살펴보면, 의무고용사업체에 근무하는 장애인 근로자 중 중증장애인은 3만8066명(23.1%)으로 전년 보다 3,408명·1.2%p증가했다.
여성장애인 역시 3만3715명(20.4%)으로 전년 보다 2800명·0.9%p 증가해 장애인 근로자의 경증·남성 쏠림 현상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사대상 기관 중 의무고용률을 달성한 기관은 1만3486곳으로 전체 의무고용사업체의 절반 수준(47.8%)에 머물렀다.
고용부는 고용현황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고용이 저조한 기관을 대상으로 5개월 간 장애인 고용을 유도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인고용이 저조한 기관의 명단을 공표하고 있다.
고용현황 조사를 연 2회(상·하반기) 실시함에 따라,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한 저조기관 명단은 오는 10월 공표될 예정이며, 오는 5월에는 2015년 6월 기준 저조기업 명단이 공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