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비대위·혁신위 출범 난항예고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6-05-17 09:55:4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친박 “혁신위원장-비대위원 외부인사 기용해야”
비박 “비박중심 혁신위-비대위 무력화 시키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이 17일 전국위원회를 개최해 비박계 김용태 혁신위원장 및 비상대책위원회 출범과 혁신위 독립성 및 권한을 명문화하기 위한 당헌 개정을 논의할 예정이지만 난항이 예상된다.

비박계 중심의 비대위와 혁신위 출범을 반대하는 친박계의 반발이 녹록치 않기 때문이다.

앞서 정진석 원내대표는 비대위원으로 당연직인 김광림 정책위의장, 홍문표 사무총장 권한대행 외에 이혜훈, 김영우, 홍일표, 한기호(원외), 김세연, 이진복, 정운천 의원 및 당선인을 선임했다.

또 혁신위원장에는 김용태 의원을 선임했다.

하지만 당내 대표적 비박 인사인 김용태 의원을 혁신위원장에 앉히고 이혜훈, 김영우 의원 등 비박계 중심의 비대위 구성을 놓고 친박계 당선인 20여명이 집단 반발하고 나서면서 논란을 예고했다.

실제 박대출 김선동 의원 등 친박계 당선인 20명은 전날 오후 4시 국회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당내 의견 수렴을 거치지 않고, 편향된 친이계 위주로 혁신위원장과 비대위원을 뽑았다”며 인선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주장했다.

심지어 “완장 찬 정 원내대표의 쿠데타”라며 격앙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이번 인선은 국민들의 준엄한 명령에 부합되는 것인지 근본적인 의문을 던져주고 있다"며 "내용은 급조됐고, 절차는 하자를 안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국민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지 우리 스스로 솔직하게 되돌아봐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무엇보다 '모든 기득권을 버리고 국민만 바라보고 가라'는 국민들의 요구에 부합되기에는 미흡하다"며 "계파를 초월하라는 시대정신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을 면키 어려울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진정 새누리당이 뼈를 깎는 혁신으로 국민 지지를 회복하고 정권 재창출을 이루기 위해서는 '국민 눈높이' 인선으로 출발해야 한다"며 "유능한 분을 삼고초려라도 해서 모셔와 혁신을 주도하는 길을 열어야 한다. 비상대책위원들도 유능한 인재로 채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성명서에는 김선동, 이헌승, 윤재옥, 이장우, 이채익, 박맹우, 함진규, 이우현, 홍철호, 김진태, 김기선, 박덕흠, 김태흠, 이완영, 김석기, 최교일, 이만희, 박대출, 윤영석, 박완수 의원 및 당선자 등이 이름을 올렸다.

김태흠 의원은 집단 기자회견 뒤 기자들과 만나, "구체적으로 어떤 분이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기 보다는 당내 계파갈등 문제와 관련해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는 분들이 (선임되어) 있지 않았느냐"고 특정인 인선을 문제 삼았다.

특히 김 의원은 "비대위원으로 선임된 분들 중에는 지난 총선에 책임이 있는 당 실무책임자였거나 그 과정 속에서 공천 갈등이나 파국 속에 책임을 면키 어려운 분들도 포함 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장우 의원도 "이 문제는 졸속으로 비대위원들을 당내 의견 수렴 절차 없이 선발했다는 것이 문제"라며 "특히 당내에서 편향적 시각으로 일부 계파에 앞장섰던 사람들을 중심으로 선임했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비판했다.

이는 혁신위원장으로 임명된 김용태 의원과 비대위원에 내정된 유승민계 이혜훈 당선인, 김무성 전 대표의 핵심 측근으로 통해온 김영우 의원 등을 겨냥한 발언이라는 해석이다.

이에 대해 비박계 의원들은 대놓고 목소리를 높이지는 않지만 친박계가 계파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는 식으로 비판했다.

실제 비대위원에 임명된 이혜훈 당선인은 "계파 싸움을 멈춰야 우리 당이 살 수 있다. 계파전쟁 하느라 박근혜 대통령이 얻었던 표의 상당 부분이 날라 갔다"며 "국민에게 호되게 혼이 난 것으로 계파전쟁을 멈춰야 한다"고 우회적으로 친박계를 비판했다.

이어 "만약 친박계가 전국위에서 지금 인선을 뒤집어엎으면 어쩌겠나 우린 힘이 없는데"라면서도 "그렇게 되면 당이 걱정"이라고 말했다.

같은 비박계 김영우 의원도 “계파의 먹구름이 걷히지 않는 한 새누리당의 미래는 없다”며 “더이상 할 말도 없다”고 친박계 움직임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특히 김용태 의원은 "친박계 20명의 성명 발표에 관해선 밝힐 입장이 없다"며 "전국위서 당의 총의가 모여 결정이 이루어지면 그 때 할 말을 하겠다"고 단단히 벼르는 모양새를 취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