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연간 19조원에 달하는 정부연구개발(R&D) 지원을 받아 개발된 우수기술제품의 상용화를 돕기 위해서다.
‘조달우수제품’ 제도는 기술·성능이 뛰어난 기술개발제품에 대해 수의계약을 통해 공공판로를 지원하는 제도로, 연간 구매액이 약 2조 3000억원에 이른다.
조달청에 따르면 그 동안 정부의 R&D지원을 통해 기술을 개발하고도 판로를 확보하지 못해 상용화가 늦어지는 문제가 제기돼 왔다.
이에따라 이번에 처음으로 정부R&D 지원제품을 조달우수제품으로 지정, 공공조달 시장을 통해 초기판로를 지원하게 된다.
이번 정부R&D 지원제품의 조달우수제품 지정 시범사업은 다양한 정부R&D 지원 분야 중 우선 중소기업청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사업’과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조달청은 정기 심사와는 별도의 절차를 마련하고 연구개발 업체의 부담 경감을 위해 신인도, 신용등급 요건 등을 대폭 완화해 조달시장 진입 문턱을 크게 낮췄다.
앞으로 조달청은 이번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우수제품 지정을 통한 공공조달시장 판로 지원 분야를 전체 정부R&D 지원 분야로 점차 넓혀나가기로 하였다.
정양호 청장은 “청에서는 R&D 제품의 판로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기술력은 있으나 생산 능력이 없는 경우라도 우수조달물품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지속적으로 정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