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새누리당으로부터 국회 파행의 주범으로 낙인찍혀 사퇴 요구를 받고 있는 정세균 국회의장이 국회 정상화 해법을 고심 중이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
국회에서 단식 농성에 들어간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는 27일 “정세균 의장은 정치적 중립 의지 없다”며 정 의장의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이 대표는 이날 새누리당 의원총회에 참석, “정세균 국회의장은 의회민주주의를 지킬 자격이 없기 때문에 박주선 국회부의장에게 의장직을 물려주고 본인 스스로 사퇴하고 물러나는 것이 이번 사태 수습의 길”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정 의장의 ‘정치적 거래’ 발언 사실을 언급하며 “마이크가 켜져 있는지도 모르고 자신의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의회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의장이 그 자리에 앉아있는 한 국회개혁 있을 수 없다. 국회의장 스스로 국회법을 어기고 파괴했다. 그가 의장으로 있는 한 다른 어떤 것도 안 된다”고 성토했다.
사실 정 의장이 정치적 중립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사례는 이전에도 있었다.
실제 정 의장은 '개회사 파동'에 이어 지난달에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세미나'에서 “개인사로 국정 전체가 표류하는 것은 정말 안타까운 일”이라면서 “빨리 특검에 넘기고 민생을 비롯한 중요한 문제에 대통령과 정부, 정당이 전념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는 등 국회의장으로서 정치적 중립을 지키지 않고 있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그럼에도 정 의장은 물러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김영수 국회대변인은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와 관련한 모든 의사진행은 헌법과 국회법에 따라 이뤄진 만큼 여당의 사퇴 요구나 사과 요구에 응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런 정 의장의 모습은 흡사 정의화 전 국회의장을 빼다 박은 듯 닮았다는 느낌이다.
미국 버클리대 출신의 칼럼니스트인 심상근 박사는 이날 한 인터넷 매체에 기고한 글을 통해 “대한민국은 대통령 지망생들이 말아먹는 국가”라며 “정의화 전 국회의장이 사사건건 박근혜 대통령을 걸고넘어진 것도 100% 대통령에 되고자 하는 꿈 때문이었다”고 분석했다.
이어 “경상도 출신으로서 경상도 표는 확보한 상태이고, 호남에서 인기를 얻어야겠다는 서진전략으로 인하여 보수정당 출신 국회의장이 사사건건 강경보수 박근혜 대통령과 맞서면서, ‘나는 경상도 출신이지만 진보와 함께 갈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세균 의장이 개헌 초부터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하는 식의 튀는 발언을 한 것에 대해서도 “이정현 새누리당 당대표가 ‘(정세균 의장은)대통령이 되고 싶어 튀는 것’이라는 식으로 주장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국회 운영을 두고 난리를 피우는 것은 그들 모두 언젠가 대통령이 되고 싶기 때문이다. 이는 100% 진실이다. 무조건 튀어서 국민들에게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가장 큰 목표”라고 강조했다.
즉 정의화 전 의장이나 정세균 의장이 튀는 발언을 하거나 튀는 행동을 하는 것은 모두 ‘대통령이 되겠다는 꿈’ 때문이라는 것이다.
물론 정치인이라면 그가 누구든 모두가 대통령이 되겠다는 원대한 꿈을 지니기 마련이다. 그걸 나무랄 생각은 추호도 없다.
하지만 그를 위해 국회의장직을 활용한다는 것은 분명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정의화 전 의장이 그렇게 발버둥 쳤지만 지금의 모습은 어떤가. 한마디로 죽도 밥도 아닌 어정쩡한 위치에 서게 됐으며, 누가 보더라도 한없이 초라한 신세가 되고 말았다.
이대로 가다가는 정세균 의장 역시 그런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매우 농후하다.
대통령은 자신이 되려고 아등바등한다고 해서 되는 게 아니다.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처럼 전남 강진의 토굴 속에 지내더라도 국민이 필요하면 부르게 되어 있다.
국회의장은 대한민국 서열 2위 자리다. 그런 자리를 대통령으로 가는 발판쯤으로 생각한다면, 그것은 대단히 잘못된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