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Search: 9,388건
경회(慶會)는 근정(勤政)의 근본
시민일보 2007.01.23
이제는 답사무대를 경회루(慶會樓)로 옮겨야겠다. 아무래도 경복궁 건축의 백미(白眉)는 경회루일 거다. 그렇다고 이 천학이 갑론을박하며 경회루에 무슨 논쟁을 벌인다면 그건 정말 주제넘는 일이다. 왜냐하면 이 천학의 이력서(履歷書)는 어디를 보아도 아예 건축론(建築論)을 접한 일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하니 설사 경회루 건 ...
합리적 시장주의(上)
시민일보 2007.01.23
나는 지금 우리의 경제적 현상을 생각해 본다. 우리에게 경제는 무엇인가. 우리는 지난 30년 동안 세계사에 드물 정도로 획기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했다. 최하빈국에서 이제는 OECD에 가입한 상위 15위권 내에 들어가는 기적적인 발전을 이뤄냈다. 어느 나라 역사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30년 만의 일대 장거라 해도 지나치지 않 ...
효과적인 방역대책이 필요하다
시민일보 2007.01.22
대통령의 깜짝 개헌발언으로 들썩이고 있다. 이 때문에 산적한 민생문제에 소홀해지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다. 뒷전으로 밀려난 민생문제 중 하나가 국민의 위생과 방역의 문제이다. 익산, 김제 등지에 이어 천안에서도 발생한 AI에 대해 국무회의에서 다루어진 내용이라곤 농림부장관의 발생현황 보고가 고작이었다는 사실은 대단히 유 ...
한민족의 도덕성을 회복하자
시민일보 2007.01.22
{ILINK:1} 한민족이 오랫동안 윤리사상 속에서 우리의 전통문화가 발전되었고 그것과 더불어 호흡하면서 이룩해 놓은 우리겨레의 귀중한 역사이며 전통이다. 그런데 근세에 이르러 우리나라에 외래문화가 물밀듯이 들어와 우리의 전통적인 윤리사상을 소홀히 하거나 무시되는 경향이 생기기 시작되었다. 특히 8.15 해방 이후 서구의 ...
정치는 소망을 실현하는 대상
시민일보 2007.01.22
‘정치는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나’ 이것은 나 자신에게 항상 던지는 질문이다. 권력의 핵심을 향해 물불을 가리지 않고 달려드는 사람들도 많고, 정치를 하면서 돈을 모은 사람들도 있다. 이런 사람들은 자신의 출세와 영달을 위해 정치를 한다고 해도 그만이다. 남의 잘못을 준엄하게 꾸짖고 대접받기 좋 ...
북한의 인권 문제
시민일보 2007.01.21
나는 북한의 인권 상태가 심각하다는 것을 절감하고, 때로는 그것에 대해 깊은 통분을 느낀다. 가능하다면 당장 그 어떤 조치라도 취해야 할 것 같다. 정치범 수용소에 있는 사람들의 탈출을 돕는 일도 중요하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일은 북한 당국의 반인권적 조치가 국제사회의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행동은 ...
경복궁 비극실화(悲劇實話) 두 토막은?
시민일보 2007.01.21
그러나 조선정부의 개혁과정이 얼마나 험난했는가를 파악하려면 적어도 두 토막의 경복궁 실화(實話)를 상기해야 한다. 경복궁 비극실화(悲劇實話)의 첫째 토막은 갑신정변을 주도한 김옥균(1851~1894년)의 말년이다. “1884년 12월4일 김옥균 등이 주동한 갑신정변이 3일천하(三日天下)로 실패하자… 바로 일본으로 도 ...
주민안전 무시한 도로공사 불만
시민일보 2007.01.21
서울 성북구에 살고 있는 주민입니다. 정릉입구에서 청수장 가는길 도로 공사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저는 초등학교와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가 있는 주부인데 그동안 도로 확장공사의 불편함을 참아왔으나 최근의 공사진행은 주민의 최소한의 안전 및 편의마저도 전혀 고려치 않습니다. 파헤친 도로도 제대로 복구되지 않아 차량이 상하고 ...
홈플러스 금천점앞 U턴 허용을
시민일보 2007.01.21
서울 금천구에 살고 있는 주민입니다. 홈플러스 금천점을 자주 이용하는데 버스 중앙차로제가 시행되기 전에는 U턴이 가능해서 쉽게 진입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좌회전을 해서 근처를 한 바퀴 돌고난 후 되돌아와야 겨우 진입할 수 있습니다. 대다수 서민들이 이용하는 도로인 만큼 교통체계를 다시 변경해 주시기 바랍니다. 홈플러스 ...
탈당을 하던가…
시민일보 2007.01.21
{ILINK:1} ‘곳간에서 인심난다’는 말이 있다. 시골 출신인 나는 어릴 적 동네잔치가 있는 날이면 으레 어머니가 근무(?)하셨던 광이나 곳간을 어슬렁거렸던 기억이 있다. 동네잔치 음식이 이곳에서 한상 차려져 멍석이 깔린 손님들에게 향한다. 그 길목을 지켜서 있다보면 어머니가 슬쩍 슬쩍 인절미나 부침개를 한 볼퉁이씩 ...
연대와 통합을 위한 정책(下)
시민일보 2007.01.18
셋째, 나는 남과 북의 특수관계가 인정되어야 한다고 믿고 있다. 여기에서 특수관계란 같은 민족이면서도 서로 다르게 살 수 있고, 그러면서도 같은 민족으로서 함께 손잡는 공존적이고 협력적인 상황의 조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남과 북은 서로 각기 자기 체제와 자기 경제를 가질 수 있고, 자기 군사력, 자기 교육제도, 자기 사상 ...
경복궁 무장해제(武裝解除)
시민일보 2007.01.18
사실 조선정부가 청일양국의 침략 야욕에 말려든 것은 임오군란에 대한 수습을 잘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선정치의 대수리 작업에 시동을 건 것은 누가 뭐래도 1884년의 갑신정변(甲申政變) 일거다. 그러나 조선의 망국(亡國)을 재촉한 사건은 무엇보다 1894년 동학혁명(東學革命)일 거다. 왜냐하면 청·일 양국의 군대 ...
대로변 쓰레기천지 대책 강구하라
시민일보 2007.01.18
서울 동대문구에 살고 있는 주민입니다. 동대문구 답십리3동에서 가게를 운영 중인데 넘쳐나는 쓰레기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가게 앞 대로변 가로수에는 날마다 음식물 쓰레기와 기타 생활쓰레기가, 뒤쪽 주택가는 온갖 생활쓰레기가 쌓여 있습니다. 구청에 신고를 해도 그때만 쓰레기를 치워줄 뿐입니다. 표지판을 세워주던지 ...
버스차고지 출구 통행인구 많아 위험
시민일보 2007.01.18
서울 중랑구에 살고 있는 주민입니다. 중화중학교 근처 버스 차고지 이동이 필요합니다. 중화중학교 근처 버스 차고지 출입구는 통행인구가 많고 비보호로 버스가 진·출입하고 있어 사고위험이 높습니다. 안전을 위해 차고지를 신내동 등 외곽으로 이동하고 노선은 그대로 운행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곳을 주민을 위한 공간으 ...
통합신당은 어떻게 가능한가?
시민일보 2007.01.18
{ILINK:1} 열린우리당내 통합신당론이 당 사수파의 반발과 개헌정국의 돌출 그리고 통합신당진영 내부의 이견과 대립으로 표류하고 있다. 무엇보다 통합신당의 원칙과 중심이 서 있지 않다. 통합신당을 무엇 때문에 어떻게 해야 하는지, 중심주체와 정책노선은 무엇인지 혼란스럽기만 하다. 분열된 채 무너져 내리고 있는 평화개혁 ...
한국사회 위기의 본질
시민일보 2007.01.17
{ILINK:1} “민주화가 이루어진 지금 여러분 행복하십니까?” 얼마 전 어느 학회가 내건 토론주제였다. 국민의 지지로 탄생한 DJ정부, 노무현 정부가 이 땅에 사는 서민과 중산층에게 민주화의 과실을 나눠주지 못했다는 판단에서 나온 것이다. 지금처럼 가시방석 같은 직장생활은 일찍이 없었다. 낙타바늘 같이 비좁기만 한 ...
고속도로 통행료
시민일보 2007.01.17
최근 개통한 지 오래된 고속도로의 통행료 무료화를 요구하는 견해가 있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입장에서는 그 근거로 첫째, ‘유료도로법시행령’ 제10조 제1항 “유료도로관리청은...30년의 범위 안에서 통행료의 수납기간을 정해야 한다”는 규정, 둘째, 통행료 회수액이 이미 건설투자비를 초과했다는 점, 셋째, 경인고속도로 ...
수정전
시민일보 2007.01.17
우리 일행은 답사시간을 편전공간 공부에 너무 많이 할애한 것 같다. 하여간 우리가 수정전(修政殿)과 경회루(慶會樓)를 만난 것은 천추전(千秋殿) 좌측 회랑문을 빠져나왔을 때다. 그 규모의 웅장미와 모양의 균형감이 서로가 잘 조화된다. 그렇지만 이 천학의 재주로는 그 감동을 아무리 무슨 말을 동원해도 감당할 길이 없다. ...
연대와 통합을 위한 정책(上)
시민일보 2007.01.17
기본적으로 김정일 체제와 북한 주민의 분리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이를 전제로 하지 않고서는 북한 문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나는 이러한 전제를 ‘현실적 접근’이라고 말하고 싶다. 현실적 접근을 바탕으로 민족 통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방향이 추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
공무원연금 개악
시민일보 2007.01.16
정부는 지금 공무원과 국민들 사이를 갈라놓기 위하여 혈안이 되어 있다. 국민연금 수급자는 월 200만원 받기가 어렵지만 공무원연금 수급자는 300만원을 받는 것이 예사이고, 이런 지급방법으로 인하여 국고의 막대한 지원이 동반될 수밖에 없어 국민의 세금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것이 정부의 주장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의 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