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해양교통위원회 최도석의원, 제282회 정례회 5분자유발언

최성일 기자 / look7780@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9-12-17 16:43:0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도심과 인접한 기존 북항 연안부두 일원을
새로운 해양문화관광거점으로 재창출해야

[부산=최성일 기자]

 

부산시의회 해양교통위원회 최도석 의원(서구 2)은 13일 열린 제282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 5분자유발언을 통해 지하철과 인접한 남포동, 광복동, 롯데호텔 등 도심과의 접근성이 양호한 기존 연안부두 일원을 장기간 유휴화 시키고 있다며, 이 일대를 차별성 높은 해양문화경제공간으로 창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최 의원은 과거 부산~거제를 비롯한 남해안을 연결해 왔던 연안부두 일대는 뱃길이 끊긴 18년이 지난 지금, 어떠한 변화도 없이 현재 9개 부두시설과 수제선(바다, 강, 호수 따위의 물과 땅이 닿아서 이루는 선)을 놀리고 있고, 부산을 방문하는 외래관광객들은 한결같이 부산의 다양한 해상관광을 기대하고 왔다가 제대로 된 해상관광 유람선도 없어 실망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기존 연안여객터미널에는 민간해운업체는 모두 떠나고 부산항만공사가 자리해 있지만, 항만공사는 화물유치 인센티브 제공과 타지역으로 항만경제가 유출되는 컨테이너 해상화물에만 집착해 오면서 부산항 무역항 항계 내의 해양문화관광 기능 창출에는 매우 소극적이였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부산시와 BPA(부산항만공사)는 시민들에게 도심 지하철과 인접한 구 연안부두를 포함하여 북항 일대를 대(大) 변화시킬 듯한 북항재개발사업 마스터플랜을 공포한지 11년이 지난 지금까지 어떠한 변화도 없이, 내년 초 유람선 1척 운항계획이 전부라며 비판했다.
최 의원은 그동안 부산항 항만물동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부산지역 경제는 반비례 추락하고 있으며, 이는 부산항만공사의 역할이 미흡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며,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부산항만공사를 국가관리가 아닌 지방공사화할 것.
둘째, 부산항만공사의 지방공사화가 어렵다면, 친수관광기능이 핵심인 용호부두를 비롯한 기존 연안부두 일원의 관리를 부산항만공사에 전적으로 맡길 것이 아니라 용호만과 연안부두 일대를 연안항으로 지정하여 부산시가 직접 관리하는 특단의 대책을 고민해줄 것.
셋째, 연안부두 육상공간은 바다영화관 등 문화공간으로 활용하고, 해상공간은 수익성이 높은 부정기 수퍼요트 전용부두와 해상택시, 해상버스 터미널, 부체식 해상레스토랑, 해상분수, 해상공연장 등 차별성 높은 해양문화관광기능을 도입 해 줄 것 등을 제안하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