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환경연구원, 부산지역 7개 해수욕장에 대한 조사결과 발표

최성일 기자 / look7780@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1-07-06 11:29:4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수인성 질병의 지표세균인 장구균, 대장균… 수질 기준 이하로 적합
백사장 모래의 중금속 카드뮴, 비소, 납, 수은, 6가크롬… 모래 기준 이하로 적합
[부산=최성일 기자]부산시(시장 박형준) 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은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이해 부산지역 7개 해수욕장에 대한 수질과 모래를 「해수욕장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조사한 결과, 모든 해수욕장이 기준에 적합했다고 밝혔다.


먼저, 해수욕장 수질조사는 수인성 질병의 지표세균인 장구균(수질 기준 100MPN/100mL)과 대장균(수질 기준 500MPN/100mL)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중앙값) 지난 6월 1일 부분 개장한 해운대, 송정해수욕장은 장구균 0~5MPN/100mL, 대장균 0~10MPN/100mL으로 수질 기준에 적합하였으며, 7월 1일에 개장한 다대포, 송도, 광안리, 일광, 임랑해수욕장 역시 장구균 0~32MPN/100mL, 대장균 0~266MPN/100mL으로 적합하였다.

다음으로 백사장 모래조사는 카드뮴, 비소, 납, 수은, 6가크롬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7개 해수욕장을 조사한 결과 카드뮴 0~0.37mg/kg(모래 기준 4mg/kg), 비소 3.05~6.60mg/kg(모래 기준 25mg/kg), 납 5.0~11.3mg/kg(모래 기준 200mg/kg), 수은 0mg/kg(모래 기준 4mg/kg), 6가크롬 0mg/kg(모래 기준 5mg/kg)으로 모두 백사장 환경기준을 만족하였다.

정영란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장마철 많은 강우 시 생활하수, 비점오염물질 등 육상 오염원이 해변으로 유입돼 일시적으로 수질이 나빠질 수 있으므로, 강우 직후에는 입욕을 자제하시기를 권고드린다”고 전했다.

한편, 연구원은 안전하고 쾌적한 해수욕을 위해 해수욕장 개장 기간에도 주기적인 수질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관리 구·군청에 신속하게 제공하고 부산시 보건환경정보공개시스템에 공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