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군, “왕우렁이, 8월 중순까지 1차 수거” 당부

정찬남 기자 / jcrso@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1-08-10 13:42:5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왕우렁이 자연 유출 및 월동방지 대책강화, 농업인 협조 절실

▲ 해남군 제공

[해남=정찬남 기자] 전남 해남군은 벼 잡초 제거용으로 활용되는 왕우렁이에 대한 관리대책을 강화한다.


왕우렁이는 친환경농업에서 저비용 제초 효과가 탁월해 잡초 방제용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생태계 교란 등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환경부는 왕우렁이를 관리가 필요한 종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해남군은 왕우렁이 지원 사업 시, 수거 의무를 불이행 할 경우 보조 사업비 회수 및 다음해 지원 배제 등 관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는 제초기가 끝나는 이달 15일까지 1차 일제 수거, 수확 후 2차 일제수거를 추진하게 된다.


해남군은 올해 관내 1,200여 농가, 2,800여ha 면적의 친환경 재배 논에 새끼우렁이 34톤을 지원했다.


왕우렁이는 논에 그물망을 설치해 웅덩이를 만든 후 물을 천천히 빼주거나 사료 등 먹이로 한곳으로 유인하면 쉽게 수거 할 수 있다.


왕우렁이 관리를 위해서는 왕우렁이의 유출방지 및 수거작업 그리고 왕우렁이 월동 방지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벼 재배 중 관리로는 왕우렁이 입식 전에 차단망 등을 용수로 및 배수로에 설치하고 논둑을 높여 왕우렁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근 농지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용·배수로 주변에 유실된 왕우렁이 또는 알을 철저히 제거해야 한다.


수확 후 관리는 관개용수 유입구와 배출구 등에 차단 망 및 포집 망을 설치해서 수확 전에 배수로 부근 물길을 조성하거나 먹이주기로 왕우렁이를 유인해 수거한다.  또한 벼 수확 후에는 녹비작물 재배, 논 말리기, 논 깊이 갈기 경운(추운 겨울철 2회) 등을 실시해야 한다.


군 관계자는 “왕우렁이를 활용한 친환경 농업은 가장 효과가 크고, 안전해 농가의 호응이 높은 농법이다”며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자연유출 및 월동방지를 위해 농지 및 농수로 관리에 농업인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참여를 바란다.” 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