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7 '외상 후 스트레스' [수원=채종수 기자] 경기도가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 입소자와 자가 치료자의 정신건강을 평가한 결과 10명 중 2명은 심리지원이 필요한 고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지난 5월18일~8월31일 도내 생활치료센터에 입소(2만1722명)하거나 자가 치료(1973명)한 2만3695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평가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16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심리지원이 필요한 고위험군은 전체의 21.4%인 3611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생활치료센터 입소자가 20.9%(3405명), 자가 치료 대상자는 32.2%(206명)였다.
이들 고위험군의 증세(중복 가능)를 보면 경미한 수준 이상의 우울증을 호소하는 확진자가 51.7%(1867명),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주의 요망 이상) 24.7%, 심리적 고통(총점 10점 7점 이상) 13.2% 순이었다.
자살 위험성이 있는 우울 단계도 10.4%로 확인됐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총 4820건의 전화상담을 진행한 결과 일상 복귀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상담 내용이 40.6%(1958명)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격리생활 답답함(32.6%), 신체 건강 후유증 걱정(13.7%), 코로나19 타인 전파 걱정(7.4%), 경제활동 중단에 따른 불안(3.2%)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 5월부터 운영한 '코로나19 확진자 심리지원단'의 심리지원 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이다.
도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상자가 도움이 필요할 경우 언제든지 연락할 수 있도록 심리지원 상담원의 이름과 연락처를 개별 안내하고, 자가치료자의 경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상담과 대리처방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500명 안팎을 연일 기록하면서 도 심리지원단도 매일 200명 안팎을 대상으로 상담을 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확진자는 신체적인 고통뿐만 아니라 주변에 피해를 입힌다는 죄책감과 심리적인 압박으로 매우 힘들어한다”면서 “격리된 확진자의 마음 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앞으로는 코로나19 대응 인력 등 대상별 맞춤형 심리지원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