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짐이 곧 국가라던 절대 왕정 시대처럼 아버지 이재명이 민주당이고 국회라는, 오만의 극치를 보인다"며 이같이 밝혔다.
추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도 "20대ㆍ21대 국회를 보면 대정부 질문 기간에 본회의에서 법안을 처리한 예가 없다"며 "여야 간 합의 없이 민주당이 원하는 대로 국회의장이 편승, 동조하면서 안건을 강행 처리하려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앞서 민주당은 이날 22대 국회 첫 대정부질문 이후 시작되는 본회의에서 채상병특검법과 방송4법 등의 단독 처리를 예고한 바 있다.
특히 국민의힘이 필리버스터에 나서면 '토론 종결권' 행사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실제 토론이 시작되고 24시간이 경과한 이후 재적 의원 5분의3 이상 찬성으로 해당 토론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
추 원내대표는 “어렵게 정상화된 국회를 의사일정 합의 없는 일방적 법안 처리로 다시 파행시키지 않길 바란다”라며 "여당은 국회 정상화를 위해 원 구성도, 임시회 일정도 양보했다. 이제 야당도 수적 우위를 과시하며 힘만 앞세울 게 아니라 다수당다운 책임을 보이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어 "무분별한 폭로성ㆍ정쟁성 발언으로 국민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일이 반복돼 최근 대정부질문 무용론이 꾸준히 제기된다"며 "부디 이번 대정부질문은 차분하고 꼼꼼하게 정책을 점검하고 국민의 생생한 목소리를 정부에 전달하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는 원내수석부대표 간 합의된 의사일정에는 대정부질문만 있을 뿐 안건 상정 (관련 내용)은 없었다"며 "20대와 21대 때 대정부질문 중 법안을 상정해 강행처리한 사례는 없을 뿐더러 민주당의 이와 같은 시도는 여야 합의정신에 위배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특히 "약속은 지키라고 있는 것"이라며 "민주당 의원들께서는 겨우 정상화시킨 국회를 다시 정쟁의 격랑으로 빠뜨리려 하느냐"고 반발했다.
그는 "(국회를 독주 운영하는)민주당식 법대로가 반복되면 우리는 법에 묶인 수형자 신세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며 "이를 다른 말로 입법독재라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늘도 입법독재를 향해 가열차게 행진하는 야당 의원들께 고한다"며 "비양심적인 법 해석과 기형적 의사진행으로 국회를 파행으로 끌고가지 말아달라, 국회를 정쟁의 도구로 사용하지 말라. 우리는 묵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성일종 사무총장도 "여야 관례를 무시하고 상임위를 독점한 민주당이 본격적인 입법 독재의 길을 걸고 있다"며 "민주당에게 여야 합의는 거추장스런 사치일 뿐이다. 관행도, 법도, 다수의 주먹 앞에 무용지물"이라고 성토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