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오늘 최고위를 마지막으로 민주당 당 대표직을 사임하게 됐다"고 말했고,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 대표 출마하지 않을 것이라면 사퇴하지 않았을 것 같다"며 연임 도전을 공식화했다.
민주당은 금주 중 전당대회 후보 공고를 공개할 예정이었다.
이 대표가 대표직 연임을 결정한 배경과 관련해 사법리스크 방탄용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불법 대북송금' 의혹 등으로 사법리스크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꼭두각시 대표'를 앞세워 당이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 방탄을 하는 것보다는 일시적 비판을 감수하면서라도 당 대표를 연임하는 편이 낫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 총선 승리로 당권을 확실히 거머쥔 이 대표가 당 대표를 연임하게 되면 차기 대권주자로서의 입지도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가 당 대표를 연임하면 대선 직전에 열리는 지방선거 공천권까지 휘두를 수 있다. 이를 위해 민주당은 최근 ‘당 대표가 대통령선거에 출마할 경우 대선 1년 전 대표직을 사임해야 한다’는 현행 당헌에 예외 조항을 추가했다. 전당대회에서 이 대표가 당 대표를 연임하면 임기는 2026년 8월까지다.
2027년 3월 대선에 출마하려면 규정상 2026년 3월까지 당 대표직을 사퇴해야 하는데 같은 해 6월 치러지는 지방선거 공천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었다.
민주당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모임으로 발돋움한 ‘더민주전국혁신회의(더혁신)’ 구성원들이 8월 전당대회에 맞춰 치러지는 당의 시ㆍ도당위원장 선거에 속속 출사표를 던지는 것도 '이재명 대통령 만들기'의 일환이다.
민주당 시도당위원장의 경우 광역단체장외 지자체장, 기초의원, 광역의원 등 공천에 관여하면서 시ㆍ도당 조직을 관리한다. 직접적으로는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나아가 대선을 준비할 수 있는 지역 조직 기반에 핵심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친명(친이재명) 인사들이 대거 주축을 이루는 더혁신에서 대거 시ㆍ도당위원장을 맡을 경우 이들을 중심으로 이재명 대표의 대선 준비를 위한 지역조직이 갖춰지게 된다.
친명 원외조직이던 더혁신은 4.10 총선을 거치면서 사실상 당내 최대 계파로 성장했다. 총선 이후 지난 4월 말 개최한 간담회에서 더혁신측이 직접 밝힌 22대 총선 당선인은 31명이었는데 현역 의원 가입자가 계속 늘고 있다. 당시 원내대표 출사표를 던졌던 박찬대 의원과 국회의장 후보 4명이 모두 간담회에 참석하면서 그 위상을 보여줬다는 분석과 함께 단순히 현역 의원 숫자로만 설명되지 않는 ‘영향력’은 그 이상일 것이란 평가가 나왔다.
이제는 단순 민주당 원외 모임이라고 부르기 어려워진 더혁신에서 현역 의원, 원외 인사 할 것 없이 시ㆍ도당위원장 선거에 뛰어드는 것이다.
이들이 시ㆍ도당위원장에 대거 진출한다는 것은 지방선거 공천에 친명 인사들의 직접적인 관여가 는다는 것을 뜻한다. 민주당 당헌 따르면 시도당위원장은 광역단체장외 지방자치단체장, 기초의원, 광역의원 등 공천에 관여한다.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2026년 지방선거 이듬해 치러지는 대선 조직의 발판을 놓는다는 점에서 상당한 무게를 지닌다. 더혁신은 공개적으로 ‘이재명 대통령 시대를 만들겠다’, ‘이재명과 함께 정권교체를 실현하겠다’고 강조한다.
최근 민주당은 당규를 개정하면서 시ㆍ도당위원장 선출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조정했다. 50대50이던 기존 규정을 20대1 미만으로 바꿨다. 권리당원의 표 가치를 높인 것이다. ‘당원주권시대’를 표방하는 더혁신 구성원들이 시ㆍ도당위원장 선거에서 더 유리해진 셈이 됐다. 구체적 방식은 전준위 심의 후 당무위 의결로 확정하기로 한 상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