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 민주·2번 국힘·3번 민주연합·4번 국민의미래

여영준 기자 / yy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03-24 11:59:1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5번 녹색정의·6번 새로운미래…6번까지 통일기호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4·10 총선 후보자 등록이 마감되면서 원내 의석을 보유한 정당의 비례대표 및 지역구 후보의 기호가 정해졌다.


2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의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이 기호 3번, 국민의힘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가 기호 4번으로 각각 총선에 나서게 됐다.


원내 의석을 가진 정당과 지역구 후보자의 기호는 지난 22일 오후 6시 후보자등록 마감 시간의 각 정당별 의석수에 따라 결정됐다.


정당 및 후보자의 기호는 국회에 의석을 지닌 정당, 의석이 없는 정당, 무소속(지역구 선거) 순으로 배치되는데 국회에 의석을 가진 정당들은 보유 의석이 많은 순서대로 기호를 배정받는다.


또 5명 이상 지역구 국회의원을 보유한 정당 및 지난 20대 대선, 21대 총선 비례대표 선거 또는 8회 지방선거 비례대표 지방의회의원 선거에서 전국 유효투표 총수의 3% 이상 득표한 정당에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호를 부여하도록 하는 공직선거법 규정에 따라 주요 정당들의 경우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호를 쓰게 됐다.


우선 국회 의석수 142석을 보유해 원내 1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기호 1번을 받게 됐다. 101석을 가진 국민의힘은 기호 2번이다. 이어 의석수 14석의 더불어민주연합이 기호 3번, 13석의 국민의미래가 기호 4번으로 정해졌다.


비례대표의 경우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따로 후보를 내지 않았기 때문에 기호 1번과 2번 없이 3번부터 투표용지에 적힌다. 반대로 지역구 선거의 경우 더불어민주연합과 국민의미래가 후보를 내지 않아 기호 3번과 4번은 투표용지에서 빠진다.


기호 5번은 국회 의석수 6석인 녹색정의당이, 기호 6번은 의석수 5석의 새로운미래가 각각 차지했다. 새로운미래까지는 지역구 선거에 나선 후보들과 비례대표 선거에서 통일된 기호가 적용된다.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호를 받는 이들 정당 외 나머지 정당의 경우 지역구 선거에선 개혁신당, 자유통일당, 진보당 후보 순서로 용지에 적힌다.


개혁신당은 전국 통일기호를 받지 못한 정당 가운데 국회 의석수가 4석으로 가장 많다. 각각 1석을 보유한 자유통일당과 진보당은 조국혁신당과 의석수가 같다.


하지만 자유통일당과 진보당은 각각 전신인 기독자유통일당과 민중당이 지난 총선에 참여했고, 조국혁신당은 신생 정당이어서 지난 선거 득표율이 없어서 조국혁신당의 경우 3개 정당 중 순서가 가장 뒤로 밀렸다.


다만 진보당은 비례대표에서 더불어민주연합에 참여해 선거를 치르기로 하면서 후보를 따로 내지 않았기 때문에, 비례대표 투표용지에는 조국혁신당이 자유통일당 바로 다음 기호를 받게 됐다.


의석이 없는 정당은 정당명 가나다 순으로, 지역구 선거에 출마한 무소속 후보자는 관할 선거구선관위에서 추첨으로 기호가 정해진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